주거·교통·일자리 혁신 일어날 용산
"사람 살기 좋은 도시, 제대로 만들 것"
한남3구역 이주 노하우 엮은 매뉴얼도 제작
"철도교통도 이젠 서울역보다 용산역이 중심입니다. 주거, 교통, 일자리 어느 하나 빠지지 않아요. 용산 전역이 다 재개발돼도 10년 후 용산의 인구는 4만명 정도밖에 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용산국제업무지구, 용산전자상가(용산메타밸리) 개발 등으로 일자리가 크게 늘어 일일 생활인구는 지금보다 35만명 이상 늘어날 겁니다."
지난달 21일 구청장실에서 만난 박희영 서울 용산구청장은 "용산구의 브랜드가치가 계속 달라지고 있다"며 "용산을 사람이 살기 좋은 도시로 제대로 만들어 보겠다"고 했다. 그는 "용산구만의 특색과 매력이 묻어나는 균형 있는 도시를 만들어가고 있다"면서 "굵직한 개발사업들이 ‘용산다운’ 사업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남뉴타운은 용산의 큰 변화 중 시기적으로 가장 앞선 사업이다. 한남3구역 이주율은 지난달 말 기준 99.64%다. 조만간 남은 30가구가 이주하면 본격적인 철거가 진행되고 착공으로 이어진다.
박 구청장은 "한남뉴타운 재개발은 그 규모만큼이나 고려해야 할 점이 많은 사업"이라며 "성공적이고 모범적인 사례가 되도록 구청에서도 꼼꼼하게 챙기고 있다"고 말했다. 박 구청장이 한남3구역 이주 사례를 담은 ‘재개발 이주관리 지원 매뉴얼’ 제작을 생각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연말께 선보일 이 매뉴얼은 한남3구역 이주 때 발생한 여러 고려사항과 해결 방안을 총망라해 담는다. 한남뉴타운 내 다른 구역의 이주 관리를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지침으로 활용하고, 노하우 공유와 역사적 기록 보관의 의미도 동시에 갖는다.
박 구청장은 "용산은 물론 대규모 이주를 앞둔 전국 지방자치단체 어디서든 활용할 수 있도록 내용을 공유할 계획"이라고 했다. 그는 "이주계획 수립, 안전관리, 범죄예방과 빈집관리, 폐기물처리, 합동 순찰 등 구역 내에서 이루어진 이주대책뿐 아니라 취약계층 보호와 개발로 인한 변화에 대응해 구가 추진한 용역 결과들도 함께 엮겠다"고 말했다.
한남2, 3, 4, 5구역 재개발은 총면적 84만4941㎡, 공동주택 1만2276가구가 들어서는 사업이다. 이 중 한남3구역은 전체의 47%를 차지한다. 한남3구역의 경우 이주 대상 8300여가구 중 세입자가 6500여가구에 이를 정도로 비중이 높다. 이 때문에 이주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최소화하고 상처가 될 만한 일이 없도록 세심하게 살펴야 한다는 게 박 구청장의 생각이다.
구에서는 특히 빈집 등 우범지역의 범죄예방 대책, 위험건축물에 대한 안전조치, 쓰레기 무단투기와 대형폐기물 처리 문제 등을 비롯해 주거 취약계층을 위한 임대주택 행정지원과 이사비 지원 등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버려진 고양이 관리나 길고양이 서식지 파괴에 따른 동물보호 대책도 꼼꼼히 챙겼다.
용산 전역이 개발되다 보니 챙기고 조율해야 할 문제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이에 대해 박 구청장은 "용산 전역에서 다양한 주체가 계획하고 진행 중인 개발사업이 난개발되지 않게 구가 선제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구는 교통, 인구, 생활 기반 시설 등 여러 측면에서 20년 앞을 내다보며 도시를 설계하고 있다"고 했다.
구가 지난 연말 마무리한 ‘종합교통체계 개선 및 관리방안 수립 용역’을 통해서는 용산미군기지, 지상 철도인 경부선·경원선으로 단절된 교통망의 대안을 세웠다. 또한 비슷한 시가 결과를 내놓은 ‘인구변화대응 연구용역’은 미래 인구구조 변화와 인구추계 예측을 통해 맞춤형 인구전략과 인구정책 로드맵을 제시하려는 노력의 결과다.
지하철 3호선·신분당선 신사역과 용산역을 잇는 신분당선 2단계 연장에 대한 용역도 이달 시작한다. 박 구청장은 "한남뉴타운 개발과 맞물려 가칭 보광역 신설 타당성 연구용역을 이달부터 진행해 연말께 완료할 예정"이라며 "용역을 통해 노선 위치와 신설 역의 필요성, 비용 분담 등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김민진 기자 ente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