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마음도 헤아려야"
성폭행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던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이 사망한 가운데 나종호 미국 예일대 의과대학 정신의학과 조교수가 5년 전 박원순 전 서울시장 사망 당시 쓴 글을 재공유했다.
나 교수는 1일 페이스북에 "자살 생각을 하는 사람들은 자살을 유일한 탈출구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며 "하지만 동시에 자살이 미화되는 것에는 강력하게 반대한다"고 썼다. 이어 "실제로 자살을 명예롭게 생각하는 사회 분위기는 자살률을 높이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라며 " 자살이 명예로운 죽음으로 포장되고 모든 것의 면죄부인 것처럼 여겨지는 분위기는 지양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나 교수가 5년 전 '그녀들에게도 공감해주세요. 고(故) 박원순 시장의 죽음 앞에서'라는 제목으로 썼던 글의 일부다. 당시 이 글을 통해 나 교수는 "박원순 시장이 느꼈을 인간적 고뇌와 고통에 공감하는 마음으로, 피해 여성의 마음도 헤아려봐 달라고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 소시민이, 서울시장이라는 거대 권력을 고소하는 데에 얼마나 큰 용기가 필요했을지, 얼마나 많은 밤을 잠 못 이뤘을지에 대해서 그리고 고소장이 접수되자마자 피고인이 자살로 생을 마감했을 때, 그녀가 느낄 충격이 얼마나 클지에 대해서 말이다"라고 적었다.
부산 사상구에서 국회의원 3선을 지낸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달 31일 밤 11시45분께 서울 강동구의 한 오피스텔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타살 등 범죄 혐의점은 없다고 밝혔다. 장 전 의원은 부산 한 대학교 부총장에 재직하던 2015년 11월 비서 A씨를 상대로 성폭력을 저지른 혐의(준강간치사)를 받았다.
한편 박원순 전 서울시장은 2020년 7월 서울 북악산 숙정문 근처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이후 그가 부하직원인 서울시 공무원으로부터 강제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사실이 알려졌다. 경찰은 약 5개월간 수사를 진행했으나 성추행 의혹을 풀지 못하고 수사를 종결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 또는 자살예방SNS상담 '마들랜'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