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올해 울산시 라이즈(RISE) 위원회·협약식’ 개최
대학·선도기업과 협력… 울산형 RISE사업 본격 추진
범국가적 심각성으로 인식되고 있는 지역 불균형 현상을 초래한 사회적 난제를 고등교육 개혁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정부 방침에 따라 지난해부터 밑그림을 그려온 라이즈(RISE)가 올해부터 지방에서도 본격 추진된다.
라이즈(RISE,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이란 지역혁신 중심의 대학지원체계를 말한다. 교육부 대학 재정지원 사업의 일부 권한을 지자체에 이양해 지역발전과 연계한 대학 지원을 통해 지역과 대학의 상생을 도모하는 제도이다.
울산시는 2일 오후 3시 시청 본관 2층 대회의실에서 2025년 라이즈(RISE)사업의 첫 출발을 알리는 ‘2025년 울산시 라이즈(RISE) 위원회와 협약식’을 개최한다.
지난해 12월 출범한 울산시 RISE 위원회는 울산의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를 주도하는 최고 의사결정기구로, 교육·경제·산업계와 유관기관 등 각계 전문가 16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번 회의는 공동위원장인 김두겸 울산시장, 오연천 울산대학교 총장을 비롯해 위원 등 1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울산시의 RISE 추진 상황 보고와 사업 수행대학의 비전과 사업계획 발표 등으로 진행된다.
또 울산시, 사업 수행대학, 선도기업 간 ‘울산형 RISE 사업 공동 추진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역혁신을 주도하는 선도 모델 구축하는데 다자간 협력의 의지를 다질 계획이다.
협약에는 △울산시 △울산대학교 △울산과학대학교 △춘해보건대학교 △HD현대중공업 △현대자동차 △SK에너지가 참여한다.
이번 협약은 지역산업 맞춤형 인재 양성, 지역혁신 생태계 조성,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과 대학의 동반성장을 목표로 한다.
김두겸 시장은 “이 사업의 궁극적인 목표는 지역 인구의 정주성을 높이고 비수도권 인구유출 문제를 해결하자는 것으로 머물고, 배우고, 일하고 살아갈 수 있어야 지역의 지속발전 가능성이 있다”라며 “대학의 지속성, 기업의 성장, 도시의 확장을 위해 라이즈 사업이 실질적인 기반이 되도록 우리 시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겠다”라고 말했다.
울산시는 지난해 12월, ‘울산광역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기본계획’을 수립해 지방과 대학의 동반성장을 위한 기틀을 마련했다.
계획에 따르면 올해를 RISE 사업 성공의 원년으로 삼고 지·산·학·연 협업으로 과제별 실무회의 15회, 기업체 간담회 6회 등을 통해 지역 현안 대응 과제를 발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지난 2월 17일 사업공고를 시작으로 선정평가 절차를 거쳐, 3월 31일 사업 수행 3개 대학의 31개 과제를 최종 선정했다. 올 한 해 동안 총 410억원을 지원하며, 오는 2029년까지 5년간 총 3075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계획이다.
각 대학의 특성을 살린 주요 추진 과제는 다음과 같다.
울산대학교는 지산학연 협력을 통해 지역 산업 수요 맞춤형 특화 인재 양성, 복합재난 대응 체계 구축, 인공지능·디지털전환(AI·DX) 확산, 탄소중립도시 실현, ‘꿀잼도시’ 조성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특히 기업 현장 캠퍼스를 활용해 실무 인재를 양성하고, 지·산·학·연 공동 연구개발(R&BD)을 수행해 울산 산업 성장과 혁신을 선도한다.
또 ‘꿀잼도시’ 조성을 위해 인문·사회·문화·예술과 공학계열 학과가 참여해 활발한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울산과학대학교는 산학협력을 기반으로 지역 주력 산업 분야 기업과 연계한 현장실습 중심 교육을 한층 강화한다.
특히 인공지능(AI) 이해력(리터러시)을 갖춘 모빌리티, 화학·에너지, 보건·사회서비스 분야의 전문 기술 인재를 집중 육성하는 한편, 탄소중립 대응 역량을 갖춘 친환경 인재 양성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아울러 ‘늘봄 생태계 조성사업’을 통해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개발과 강사 양성을 지원하며, 지역 돌봄과 방과 후 프로그램 활성화를 적극 추진한다.
춘해보건대학교는 보건의료·휴먼서비스 특성화 대학으로, ‘지역 체감형 복합재난 안전 관리 지원체계 강화 사업’을 통해 방사선 재난 대응을 특화하고, 복합재난(자연·산업·사회 재난) 대응과 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산업보건안전과 방사선안전 분야 전문 인재 양성을 추진한다.
‘지역 친화형 통합 건강관리 지원체계 강화 사업’을 통해 지역 내 사회적 약자의 건강관리와 일상생활 복지 지원에도 적극 나선다.
영남취재본부 김철우 기자 sooro9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