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산정기준이 없어 낮은 대가로 적용되거나 아예 받지 못했던 12개 품목을 발굴해 적정공사비 산정기준을 개발한다고 2일 밝혔다.
개발 품목은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에서 요청한 에어컨 배관 박스, 데크플레이트 슬리브, 덕트 슬리브, 열교환기 설치, 메탈히터 설치, 냉난방기 세척, 에어커튼 설치 등 7개와 한국전기공사협회가 요청한 관통형 커넥터, 차광막, 가로등 암(arm) 교체, 소형 핸드홀, 발광다이오드(LED) 조명등주 등 5개 품목이다.
공사비 산정기준은 건설자재 설치 시 얼마나 드는지 비용을 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부에서 매년 초 발표하는데 자재·공법 등 급변하는 건설 환경을 제때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 지자체에서 산정기준을 만들 수 있다.
앞서 지난 2월 시는 건설업계의 애로사항 해소를 위해 국내 5대 건설협회와의 간담회를 진행했다. 지난달에도 추가 간담회를 요청하는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한국전기공사협회를 만나 업계의 어려움을 청취했다.
시는 전문가, 유관기관, 발주기관 등이 참여한 자문회의를 개최해 관행으로 적정한 대가를 받지 못했던 12개 품목에 대한 적정공사비 산정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데에 의견을 모았다. 이에 '민관 합동 공사비 산정기준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해 이달부터 개발에 착수하기로 했다.
12개 품목에 대한 적정공사비 산정기준은 객관성이 담보될 수 있도록 건설협회와 시가 추천한 전문가의 주도하에 현장실사를 통해 투명하게 개발될 예정이다. 실사 결과는 대한기계설비연구원, 대한전기협회 등 공사비 산정 전문 기관의 추가 정밀 검증을 거쳐 합리적이고 타당한 공사비 산정기준 근거로 사용될 계획이다.
시는 이번 개발을 통해 시공 품질 향상과 안전성을 높이고 업계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개발된 산정기준이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정부 공식 기준으로 등재해 공공기관과 민간 등에도 널리 확산시킬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업계에서 요구해왔던 '건설장비 임대비용 보전(작업계수)'도 개선한다.
전기공사에 건설장비 사용 시 장애물 등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경우 작업계수로 일부 보전해 주고 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갈수록 증가하는 임대 비용을 작업계수가 따라가지 못해 손해를 감수하고 있다는 고충이 있었다.
도심지 공사 여건의 어려움을 감안해 작업계수를 양호(0.9)에서 보통(0.7)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이를 적용하면 가로등 1개 설치 시 기존에 비해 약 30%의 공사비 증가 효과가 있다.
이 외에도 건설장비 작업계수 적용 오류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올해 상반기 중으로 작업계수 적용 가이드를 개발해 가로등 설계 부서에 배포할 계획이다.
이혜경 서울시 재무국장은 "적정공사비 산정기준 개발은 오랜 관행으로 적정한 대가를 받지 못하고 일하던 것을 개선하는 것으로 건설업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했다.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