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자수 연료 사다리 역할, 불 확산 영향"
LA 화재 당시 높은 키 때문 화재진압 어려움도
최근 초대형 산불로 몸살을 앓은 미국 서부 최대 도시 로스앤젤레스(LA)에서 야자수를 퇴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형 산불이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화재에 취약한 야자수를 기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30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자생 식물 협회의 보존 프로그램 책임자인 닉 젠슨은 "야자수가 '연료 사다리' 역할을 해 나무 상단부까지 불꽃이 치솟고, 불씨가 더 넓은 지역으로 확산하게 된다"고 경고했다.
오랫동안 야자수는 LA의 상징하는 나무로 여겨졌다. 현재 LA시가 관리하는 야자수는 약 10만 그루에 달한다.
하지만 기능적으로는 다른 나무에 비해 부족하다는 지적도 꾸준히 나온다. 가지와 잎이 풍성한 활엽수에 비해 보행자들에게 제공하는 그늘 면적이 작고, 화재에도 훨씬 취약하다는 것이다. 실제 이번 산불 진화 과정에서도 야자수는 화재 진압에 상당한 걸림돌이 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야자수는 일반적인 이미지와는 달리 LA의 토착 식물도 아니라는 점도 퇴출론에 힘을 싣는 분위기다. 당초 LA는 큰 나무가 자라지 않고, 관목과 풀밭이 대부분인 지역이었으나 1800년대 후반 부동산 업자들이 캘리포니아주를 개발하면서 야자수를 이용하기 시작했다. 추운 동부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따뜻한 기후를 이점으로 부각하기 위한 마케팅이었다는 것이다.
1932년 LA 올림픽을 앞두고 진행된 미화 캠페인도 야자수가 확산하는 계기가 됐다. LA시가 도시미관 작업의 일환으로 수천 그루의 야자수를 심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캘리포니아의 토착종인 참나무가 산불에 더 강하고, 야생동물에도 더 많은 먹이와 서식지를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다만 산불 피해를 야자수의 탓으로만 돌리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는 비판도 있다. 이번 산불이 확산한 이유는 강한 바람과 밀집된 건물이었고, 야자수의 탓만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스테파니 핀세틀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교수는 최근 외래 해충과 질병 탓에 LA의 야자수가 대량으로 폐사했다면서 "무분별하게 야자수를 심어도 곤란하지만, 모든 야자수를 없애면 후회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