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오화경 저축銀중앙회장, 36년만에 연임…"연말까지 부동산PF 안정적 관리"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31일 총회 79표 중 76표…득표율 96.2%
오 회장 "서민금융 포트폴리오 다양화"
"중장기 과제, 예보료율 인하·M&A 자율화"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이 득표율 96.2%를 얻으며 연임에 성공했다. 오 회장은 36년 만에 연임 회장이 됐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이 31일 오전 서울 중구 16층 뱅커스클럽에서 여린 2025년 중앙회 정기 총회에서 20대(차기) 중앙회장 연임에 성공한 뒤 기자들과 만나 발언하고 있다. 문채석 기자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이 31일 오전 서울 중구 16층 뱅커스클럽에서 여린 2025년 중앙회 정기 총회에서 20대(차기) 중앙회장 연임에 성공한 뒤 기자들과 만나 발언하고 있다. 문채석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오 회장은 31일 연임을 확정지은 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브리지론 매매가 가장 중요하다"며 "연말까지 안정적으로 관리해 시장 신뢰를 얻고 중앙회 역할을 제대로 하겠다"고 말했다.

오 회장은 중앙회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개최한 정기총회에서 79개 저축은행 대표들로부터 76표를 받아 득표율 96.2%로 차기(20대) 중앙회장에 당선됐다. 임기는 2028년 3월30일까지다.


그는 총회 종료 후 기자들과 만나 "현안이 많아 어깨가 무겁지만 소통을 강화해 어려움을 잘 극복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오 회장은 지난해 말 기준 수도권 저축은행 자산 비중이 전체의 85%, 수익 비중이 88%가량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3년 전 19대 회장 취임 때보다 수도권-지방 격차가 벌어졌다고 인정했다.

그는 임기 3년간 자산 건전화, 저축은행 역할 확대, 규제 완화, 차세대 전산 시스템 확충 등 4가지 과제를 완수하겠다고 79개 저축은행 대표들에게 공언했다고 전했다.


31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5년 저축은행중앙회 정기총회 참석자들이 대화하고 있다. 문채석 기자

31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5년 저축은행중앙회 정기총회 참석자들이 대화하고 있다. 문채석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오 회장은 인수합병(M&A) 완전 자율화, 예금보험료율 인상 등을 추진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예보료율은 금융회사가 예금을 수신했을 때 예금보험공사에 지불하는 보험료의 비율이다. 저축은행은 금융권에서 가장 높은 0.40%를 적용받는다.


M&A 규제 완화 차원에서 지방 저축은행 영업 구역 광역화를 금융당국에 제안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산건전성 4등급 이하로 부실 우려가 있는 수도권 저축은행 '조건부 M&A'만 허용할 정도로 빡빡한 규제를 완화해달라는 업계 요구를 당국에 전할 예정이다.


오 회장은 "지방 저축은행을 모두 합쳐봐야 자산 비중이 15%에 불과한 실정인 만큼 (당국에) 지방 저축은행의 영업 구역을 광역화해달라고 요청할 생각"이라고 했다.


오 회장은 2022년 2월부터 3년간 19대 회장으로서 부동산 PF 예금 대량 인출(뱅크런) 리스크 차단 등 현안 해결에 집중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중앙회 부실채권(NPL) 전문회사 설립 작업을 진두지휘하며 저축은행 업권 건전성을 높이는 데 주력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79개 저축은행 연체율은 8.52%로 9년 만에 최고로 치솟았다.


중앙회는 총회에서 김인구 전무이사(전 한국은행 대전세종총남본부장), 이용만 감사(한성대 부동산학과 교수) 선임, 지난해 결산보고 승인 등 주요 안건도 처리했다.


김 신임 전무는 한은 금융안정국장, 대전세종충남본부장 등을 역임한 통화·금융안정 전문가다. 이 신임 감사는 한국주택학회장, 한국부동산분석학회장을 지낸 부동산 전문가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