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결제수당 이용 불가' 안내문
최형록 대표 "금주 중 입점사 만날 것"
최근 판매대금 정산 지연으로 논란에 휩싸인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이 결제 서비스까지 전면 중단했다. 이 때문에 제2의 '티몬·위메프(티메프) 사태'가 터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30일 연합뉴스는 발란의 상품 구매·결제가 지난 28일 밤부터 모두 막혔다고 보도했다. 발란은 "현재 모든 결제수단 이용이 불가합니다. 빠른 시일 내에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조치 중입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라는 안내문을 띄웠다. 현재 발란에서는 신용카드사와 전자결제대행(PG)사가 서비스를 중단하고 철수한 것으로 보이며, 발란의 자체 결제서비스인 발란페이 또한 사용할 수 없다.
발란은 지난 24일 일부 입점사에 대한 판매대금을 지급하지 못해 물의를 빚었다. 당시 발란은 "몇몇 입점업체에 정산금이 중복으로 지급된 정황이 파악돼 정산 시스템을 정상화하는 과정에서 잠시 정산이 중단된 것"이라며 "시스템을 빠르게 복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28일까지 입점업체에 지급 일정을 공지하고, 지연 이자도 지급하겠다고 했으나 결국 이러한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
약속한 날짜인 지난 28일 최형록 발란 대표는 정산 지연에 대한 사과문을 내고 "이번 주 중 입점사를 직접 만나 그간의 경위와 계획을 설명하겠다"고 해명했다. 이 사과문이 올라온 후부터 발란의 결제서비스가 중단됐다.
일각에서는 이번 정산 지연 사태가 발란이 겪고 있는 유동성 위기 때문이라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2015년 설립된 발란은 2022년 한때 기업가치 3000억원까지 인정받으며 국내 대표 명품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최근 수년간 판매 부진과 고객 이탈 등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최근에는 기업가치가 과거 10분의 1인 300억원대까지 주저앉았다. 또 설립 이후 계속 적자행진을 이어오고 있으며, 2020~2023년 4년간의 누적 영업손실액은 724억원에 이른다. 발란은 2023년부터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빠진 가운데 지난해 역시 적지 않은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또 유통업계에서는 발란이 제2의 '티메프'가 돼 곧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할 것이라는 예측까지 하고 있다. 티존과 위메프는 지난해 입점엄체 5만여곳, 1조3000억원에 이르는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를 일으킨 뒤 기업회생절차를 밟는 중이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