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촌동 소재 아파트 보유자 많아
"대통령실 출퇴근 용이·투자가치 고려"
대통령실 비서관급 이상 고위 참모 54명 가운데 20%에 해당하는 11명이 용산구 소재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용산에 위치한 대통령실에 출근이 용이한 데다 향후 투자가치도 있어 '일석이조' 효과를 노린 것으로 보인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지난해 12월31일 기준 '2025년 고위공직자 정기 재산 변동사항' 자료에 따르면 비서관급 이상 대통령실 참모 54명 중 11명이 용산구 소재에 아파트 등 부동산을 보유했다. 자산이 100억원을 넘는 성태윤 정책실장은 배우자와 모친 명의로 용산구 이촌동 LG한강자이 아파트와 이촌동 건물을 각각 신고했다.
자산이 160억원에 달하는 장호진 외교안보특별보좌관은 22억4000만원 상당의 용산구 서빙고동 아파트를 보유했으며, 이촌동 LG한강자이 아파트 지분 일부를 신고했다. 이도운 홍보수석비서관은 33억원 상당의 용산구 이촌동 강촌아파트와 삼익아파트를 배우자와 공동 명의로 들고 있다. 신고 재산이 398억원으로 대통령실 재산 1위에 등극한 이원모 공직기강비서관은 본인 명의의 용산구 한강로 2가에 위치한 아파트 등을 신고했으며, 김동조 국정기획비서관도 용산구 용문동 소재 아파트를 보유했다.
신수진 문화체육비서관은 22억7800만원 상당의 용산구 한강로3가 센트럴파크 아파트를 신고했고, 이경우 인공지능·디지털비서관 역시 배우자와 공동명의로 28억원 상당의 이촌동 LG한강자이 아파트를 갖고 있다.
대통령실 한 참모진은 "새벽 출근하고, 야근이 잦은 대통령실 업무 특성상 출퇴근이 용이한 용산에 집을 가진 참모진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면서 "강남 3구에 이어 용산에 대한 부동산 투자 전망이 밝다는 점도 작용했을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최근 용산구가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에 이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속앓이를 하는 참모진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급작스레 토허제가 해제·부활하고 용산구가 새로 규제 대상에 묶이면서 매매수요가 사라지고 시장의 혼란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토허제 해제를 대통령실에 지속적으로 요청했으나, 부동산 시장 파장을 우려한 대통령실서 반대 의사를 명확히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은 이번 서울시의 토허제 해제와 지정 관련해서 오 시장과 국토교통부로부터 사전 보고를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시장 측면에서 장기적으로 토허제를 푸는 방향으로 가는 것은 맞지만 우리나라 부동산 문제가 민감한 만큼 그 시기는 신중해야 한다"면서 "급작스레 풀고 묶은 서울시 결정은 아쉽다"고 평가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