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한때 98% 기록했던 진화율 78%로
산림 피해 면적 658㏊로 집계
울산시 울주군 온양읍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한 지 닷새째인 26일에도 좀처럼 불길이 잡히지 않고 있다. 한번 불길이 잡힌 지역에서 숨은 불씨가 바람의 영향으로 되살아나는 현상이 반복되면서 전날 한때 98%를 기록했던 진화율은 78%로 뒷걸음쳤다.
산림 당국은 이날 오전 6시10분께부터 온양읍 대운산에 헬기 13대를 투입해 주불 진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소방차와 산불진화차 등 장비 76대와 함께 인력 1200여명도 동원됐다.
산림 당국은 전날 발생한 울주군 언양읍 화장산 산불의 주불이 이날 아침 잡힘에 따라 대운산 산불 진화에 주력했다. 그런데도 이날 낮 12시 기준 대운산 산불 진화율은 78%다. 전날 오후 6시 기준 92%보다 크게 떨어졌다.
전체 화선 18.8㎞ 중 14.8㎞에서 진화가 완료됐으나, 나머지 4㎞에서 불길이 잡히지 않고 있다. 산림 피해 면적은 658㏊로 집계됐다.
현장통합지휘본부를 지휘하고 있는 김두겸 울산시장은 브리핑에서 "불을 끄고 지나간 자리에서 재선충 훈증 더미나 2m가량 쌓인 낙엽 등에 숨어 있던 밑불이 바람을 타고 되살아나 재발화하는 현상이 반복되면서 진화율이 오히려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김 시장은 "이 뒷불을 막으려면 사람이 접근해야 하는데 경사가 가파르고 산림이 울창한 곳으로 접근 자체가 쉽지 않다"면서 "이번 화재를 겪으면서 산림청이나 지방정부가 모든 산에 산불 대응을 위해서라도 임도를 조성하는 문제를 생각해 봐야 한다고 절실히 느꼈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 산불 현장에는 전날보다 잦아든 평균 초속 1m, 최대 초속 4m의 바람이 불었다. 하지만 오후 들면서 초속 5~7m로 강해져 진화 작업이 어려워지고 있다. 불길이 바람을 타고 세력을 키우면서 마을 바로 뒤까지 내려온 곳도 있다.
외광리 평광마을에는 산불이 거세지니 주민들은 대피하라는 안내 방송이 반복적으로 흘러나왔다. 민가 뒤쪽 야산으로 연기가 보이면서 경찰관들이 대피를 권고했지만, 주민들은 차마 집을 두고 떠나지 못한 채 마을 주변을 서성거리기도 했다.
온양읍 일원에서는 전날 저녁 대운산 능선에 머무르던 불길이 산자락 민가 쪽으로 내려오면서 10개 마을에 추가 대피령이 내려졌다. 이에 따라 345가구 주민 394명이 온양읍 행정복지센터와 일대 경로당으로 대피한 상태다.
산불 구역 한쪽에선 불길이 바람을 타고 경남 양산 경계를 넘어가 양산 주민 94명이 대피했다. 경찰은 산불 영향에 대비해 이날 오후 4시 10분부터 광청로 용당교차로에서 부울고속도로 온양IC 입구까지 양방향을 통제하고 있다. 산림 당국은 이날 저녁 해가 지면서 헬기를 철수하고 민가를 중심으로 야간 방재 태세에 들어갔다.
27일 새벽부터 밤까지 울산 지역에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으나 강수량이 5~10㎜로 예상돼 진화에 역할을 할지는 미지수다.
김진선 기자 carol@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