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청·수자원공사 공동 논의
노후 수도관·정수장 위생·가뭄 대응 등
노후 수도관, 정수장 위생, 가뭄 대응까지. 지역 수돗물 안전을 위한 현장의 고민과 해법을 찾는 자리가 마련됐다.
영산강유역환경청은 한국수자원공사 영·섬유역수도지원센터와 오는 27일 제주특별자치도에서 ‘2025년 상반기 영·섬유역수도지원협의회’를 열고, 수도시설 운영 현안과 위기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고 26일 밝혔다.
이 협의회는 광주·전남·제주 지역 26개 기초지자체의 수도시설 관리자들이 참여하는 협의체로, 지역 수도 정책의 실무적 협력과 정보 공유를 목적으로 2022년부터 반기마다 열리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노후 상수도 정비사업 사후관리 정책 ▲정수장 위생관리 실태 합동점검 계획 ▲가뭄·사고 등 위기 대응 방안 ▲수돗물 사고 우려 지역 해소를 위한 컨설팅 방안 등이 논의된다.
조영희 유역관리국장은 “환경청, 지자체, 수자원공사가 함께 소통하고 협력해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오봉근 영·섬유역수도지원센터장도 “지자체의 기술적 어려움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영산강청은 올해 정수장 소형생물 대응체계 구축, 노후 상수도 정비, 상수도시설 확충 및 관리 등에 국고 1,265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송보현 기자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