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올해 도내 108개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공동주택관리 감사’를 진행한다. 경기도 직접 감사는 20개 단지고, 31개 시군 감사는 88개 단지다.
공동주택관리 감사는 2013년 경기도가 최초 도입했으며 2014년 법제화 후 전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제도로 민원 감사와 기획 감사가 있다.
민원 감사는 전체 입주자 등 20% 이상의 동의를 받아 실시하는 감사로, 시군을 통한 수요조사로 대상 단지를 선정한다. 기획 감사는 주제를 선정해 취약 분야를 발굴하는 감사로 시군과 동시에 실시한다. 올해는 장기수선충당금을 사용하는 사업자 선정 절차 적정 여부, 장기수선계획의 이행과 장기수선충당금 사용의 적정성 등에 대해 감사를 실시한다.
공동주택관리 감사는 투명하고 효율적인 관리 여건 조성과 입주민들의 권익 보호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경기도는 2018년부터 민간전문가가 포함된 감사 결과 심의 제도를 도입해 객관적이고 공정한 감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경기도는 매년 주요 감사 지적사례에 대해 사례집을 만들어 시군과 의무 관리 대상 공동주택 단지에 배포하고 있다. 감사 지적사항에 대한 재발 방지를 위해서 이전 감사 실시 단지에 동일 위반행위가 반복되지는 않는지 사후감사도 실시하고 있다.
경기도는 이번 감사 과정에서 발견된 불합리한 규정에 대해서는 중앙부처에 제도개선을 건의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이번 감사와 함께 법령 위반 예방 활동도 진행한다.
올해는 신규사업으로 시군에서 추진하는 입주자대표회의 구성원 집합교육 현장을 찾아 감사에서 자주 발생하는 법령 위반사례 중심의 예방 교육을 한다.
홍일영 경기도 공동주택과장은 "공동주택관리 감사를 통해 확인된 위법 사항에 대한 조치와 함께 위법 사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현장으로 찾아가 입주자 등에게 법령위반 예방 교육을 실시하는 등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