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 신체기능 상태 향상
현재 70세=과거 65세 수준
초고령사회를 맞아 정부가 노인 연령 기준 상향을 위한 사회적 논의에 나선 가운데 현재 70세 노인은 10년 전 65세 노인과 '건강 노화’가 비슷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18일 이윤환 아주대의료원 노인보건연구센터 교수는 보건복지부가 스페이스쉐어 서울역에서 연 제3차 노인연령 전문가 간담회에서 발제자로 나와 "건강노화를 고려할 때 현재 70세는 예전 65세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최근 노인들이 과거 노인보다 신체적으로 더 건강하고 장애도 없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2011년과 2023년의 신체기능 장애율 분석 결과 고령자의 중증 장애 비율은 65∼69세의 경우 4.2%에서 2.4%로, 70∼74세는 4.9%에서 4.4%로 줄었다고 밝혔다. 세부 연령별로 비교했을 때는 2023년 70세의 기능상태가 2011년 65세와 비슷한 수준이었다고 전했다.
기능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건강노화지수는 12년 사이 평균 1점 증가했는데 2011년 당시 65세의 건강노화지수(10.88)와 유사한 연령대는 2023년엔 72세(10.81)였다. 2023년 72세의 노화 수준이 2011년 65세와 유사한 수준이라는 뜻이다.
이 교수는 노년기에 진입 중인 1차 베이비붐 세대(1955∼1964년)가 이전 산업화 세대(1945∼1954년생)에 비해 만성질환 유병률이 줄고 의료비 지출도 감소하고 있다는 통계를 들며 건강노화 연령의 상향 추세가 이어지리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건강수명이 평균 72.5세(2020년)로 나타나고 노인들이 생각하는 노인연령 기준이 71.6세(2023년도 노인실태조사)로 조사된 점도 언급하며 현재 65세인 노인연령 조정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이날 간담회의 또 다른 발제자인 권정현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도 '고령층의 건강 개선과 근로기간 연장을 위한 정책 대응 방향'을 발표하면서 다양한 지표들을 볼 때 고령층의 전반적인 건강 개선이 이뤄졌다고 전했다.
그러나 권 연구위원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건강 수준에 뚜렷한 격차가 존재한다"며 "노인연령 조정에 있어 고령 집단 내 이질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법정 정년 상향 이전에 재고용 제도를 적극 운영해야 한다며 근로·사업소득을 반영해 국민연금 수급액을 깎는 감액 제도는 "노인연령 조정 방향과 배치되는 제도로 폐지 또는 기준 상향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서지영 인턴기자 zo2zo2zo2@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