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일회용품 없는 축제”…영산강청, 다회용기 도입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국비 17억 지원…폐기물 340톤 감량

영산강유역환경청이 광주와 전남, 경남, 제주 지역 축제를 ‘일회용품 없는 무대’로 바꾼다. 시민이 모이는 축제 현장 곳곳에 다회용기를 도입해 쓰레기 없는 축제를 확산시키겠다는 구상이다.

영산강유역환경청 전경.

영산강유역환경청 전경.

AD
원본보기 아이콘

17일 영산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광주시, 전남도, 경남도, 제주도와 협력해 올해부터 ‘일회용품 없는 친환경 축제’를 본격 추진한다. 전국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지역축제 40곳 이상에 다회용기를 도입하고, 폐기물 감량을 위한 다양한 실행사업에 나선다.


이를 위해 정부는 전년보다 150% 이상 늘어난 국비 17억5,000만원을 지자체에 지원한다. 이를 통해 340t 이상의 폐기물 감량을 목표로 한다. 기존에는 전남 지역에 한정해 국비가 지원됐으나, 올해부터는 광주와 제주, 경남 하동 지역까지 범위를 넓혔다.

친환경 축제를 위한 세부 방안도 마련됐다. 영산강청은 ‘친환경 축제 실천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각 지자체의 이행 상황을 점검하는 ‘폐기물 감량 모니터링단’을 운영할 계획이다. 또 감량 실적이 우수한 지자체에는 국비 추가 지원 등 인센티브를 제공해 지자체 간 일회용품 감축 경쟁도 유도한다.


앞서 영산강청은 지난해 전남도와 일회용품 줄이기 협약을 체결하고, 도내 22개 지역축제에 다회용기 보급을 지원했다. 이로 인해 170t의 폐기물을 감량하는 성과를 거뒀으며, 환경부는 이를 전국 확산이 가능한 모범 사례로 선정했다.


이와 함께 지역 내 ‘작은 영화관’ 등 공공시설에도 다회용기를 확대 도입한다. 지난해 영광군에서 시범 운영된 사업을 올해는 고흥, 진도, 곡성, 화순, 무안 등 전남 6곳으로 확대하고, 다회용기 사용에 따른 폐기물 감량 실적이 우수한 시설에는 ‘친환경 영화관’ 인증 현판도 수여할 예정이다.

공공도서관 등 다중이용시설에도 친환경 시설을 도입한다. 목포시 등 일부 지역 공공도서관에 텀블러 세척기를 우선 설치하고, 이용 효과를 분석해 향후 확대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영산강청은 앞으로 지역 대학 내 카페와 대형 영화관 등 일회용품 사용이 많은 민간시설로도 다회용기 도입을 넓혀가는 등 친환경 소비문화 정착을 위한 신규 사업을 지속 발굴할 예정이다.


김영우 청장은 “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해 일회용품과 폐기물 감축에 앞장설 것이다”며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친환경 소비문화의 성공을 좌우한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송보현 기자 w3to@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