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발효
캐나다 "31조원 상당 美 제품에 보복 관세"
트럼프 "물론 대응할 것" 재보복 시사
"4월2일까지 유연성 발휘" 협상안 요구
캐나다 정부가 1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발효에 맞서 210억달러(약 31조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맞불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유럽연합(EU)에 이은 대미 보복 조치다. 트럼프 대통령은 즉각 재보복 방침을 시사하며 상호관세 발표 시점인 다음 달 2일까지 '유연성'을 발휘하겠다고 밝혀 사실상 그 시한까지 각국에 무역장벽을 낮추고,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협상안을 가져오라고 압박했다.
캐나다, 31조 상당 美 제품에 맞불 관세…EU도 보복 관세 예고
도미닉 르블랑 캐나다 재무무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미국산 철강·알루미늄과 컴퓨터, 스포츠 장비, 주철 제품 등에 25%의 보복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이날 자정부터 미국으로 들어 오는 모든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발효한 데 대한 맞불 조치다. 르블랑 장관은 미국의 관세 발효 하루 뒤인 13일부터 이 조치를 발효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관세 부과는 캐나다가 지난 4일 300억달러(약 44조원)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것과는 별도로 시행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일 캐나다산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한 뒤 다음 달 2일까지 유예했지만, 캐나다는 이 조치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르블랑 장관은 "미국 행정부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성공적인 무역 파트너십에 혼란과 무질서를 또다시 초래하고 있다"며 "이는 캐나다와 미국 가계 모두에게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제품의 비용을 높일 것"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EU도 이날 트럼프 행정부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조치 발효에 맞대응해 4월부터 280억달러(약 41조원)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에서 수입하는 철강·알루미늄, 쇠고기, 오토바이, 위스키 등이 보복관세 적용 대상이다.
트럼프, 재보복 시사…"4월2일까지 유연성" 상호관세 부과 전 각국에 협상안 요구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방아쇠를 당긴 철강·알루미늄 관세 조치에 맞대응한 EU 등에 발끈하며 재보복을 예고했다.
그는 이날 백악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EU의 관세 조치에 대응할 것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물론 대응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문제는 우리나라가 (그동안) 대응하지 않았다는 것"이라며 "봐라. EU는 미국을 이용하기 위해 설립됐다"고 주장했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도 이날 별도 성명에서 EU의 보복 관세 부과를 비판하며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원인은 그동안 공급 과잉 문제를 외면한 EU에 있다고 책임을 돌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발효, 유예를 여러 차례 반복하며 '오락가락' 관세 정책을 편다는 지적에는 "난 조정할 권리가 있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일관성이 없는 게 아니라 유연성을 발휘한 것"이라며 "난 항상 유연성을 유지하겠지만 한번 시작하면 그때부터는 유연성이 매우 적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4월2일은 미국에 매우 중요한 날이 될 것"이라며 "미국은 다른 나라들이 우리에게서 훔쳐 가고, 미국의 무능한 지도자들이 (다른 나라가) 훔쳐 가도록 한 것들의 상당 부분을 되찾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동안 여러 차례 예고한 4월2일 상호관세 발표 시점 전까지 각국에 무역장벽 완화와 함께 대미 무역흑자 해소 방안을 가져오라는 압박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미할 마틴 아일랜드 총리와의 회담에서도 "우리는 아일랜드와의 무역에서 엄청난 적자를 보고 있다"며 무역적자에 불만을 표시했다. 마틴 총리는 이와 관련해 아일랜드가 이전보다 미국 투자를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하루가 멀다고 관세 폭격을 쏟아붓는 가운데 각국의 대응은 엇갈리고 있다. EU와 캐나다는 미국을 상대로 즉각 보복에 나섰다. 특히 캐나다는 미국이 관세를 부과할 때마다 보복 조치로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멕시코는 맞대응을 자제하며 대미 협상을 통한 관세 회피에 힘을 쏟고 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이날 "우리가 (미국과) 무역협정을 맺고 있고,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가는 상품에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할 때 상호관세가 부과돼서는 안 된다"며 "우리는 4월까지 기다렸다가 상호관세 부과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우리도 그랬더라면 시장 폭삭 안 망했다"…한국 부러워한 세계인들[윤석열 파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40412114297826_1743736301.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