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남도, ‘드론 방역’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 차단 나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경상남도가 이달 10일부터 28일까지 3주간 아프리카돼지열병 전파를 막고자 드론 방역을 시행한다.


경남도는 봄철 야생멧돼지 이동 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도 경계 지역 양돈농가와 양돈 밀집단지 등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위험 농가를 대상으로 방역한다고 밝혔다.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시기가 3월~4월에 연중 33% 정도로 집중되고, 최근 발생지역이 남하해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감염이 확산하는 상황 등을 토대로 바이러스의 도내 유입 위험을 고려해 이같이 결정했다.


경남도가 아프리카돼지열병 도내 유입을 막고자 드론 방역에 나섰다. 경남도청 제공

경남도가 아프리카돼지열병 도내 유입을 막고자 드론 방역에 나섰다. 경남도청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에 도는 방역용 드론 3대를 활용해 방역에 나선다.


야생멧돼지 접근 위험이 큰 경북, 부산과 맞닿은 창원, 김해, 밀양, 양산, 창녕, 거창, 합천 등 7개 시군 양돈농가 18곳의 외부 울타리와 농장 주변 야생멧돼지 접근 예상 경로에 야생동물 기피제를 살포한다.

밀양, 고성, 합천 양돈 밀집 사육단지 양돈농가 45곳에도 드론 방역을 지원한다.


또 경북, 부산과 인접한 도 경계 산악지역에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의 열화상 예찰용 드론을 띄워 야생멧돼지 수색, 이동 경로 수집, 관련 정보 환경부서 제공 등 야생멧돼지 포획도 도울 계획이다.


앞서 경남도는 지난 2월 10일부터 28일까지 3주간 도 경계 지역 양돈농가 18곳 대상 방역실태 점검을 하고 미흡 농가에 대해 행정처분 1건, 현지 시정 10건을 했다.


정창근 동물방역과장은 “봄철 야생멧돼지의 활동 증가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야생멧돼지에 의한 농장 내 바이러스 유입이 우려된다”라며 “돼지 사육농장에서는 농가 방역 시설을 수시 점검하고, 장화 갈아신기, 농장 내·외부 소독 등 농가 기본적인 방역 수칙을 철저하게 지켜달라”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이세령 기자 ryeong@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네이버 아이콘네이버 랭킹 기사

구독아이콘구독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