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거 대상' 이름 올린 의원 등 탄원서 제출
"잠재적 피해자로서 헌재의 파면 선고 호소"
12·3 비상계엄의 주도자로 의심받고 있는 노상원 전 정보 사령관의 수첩에 ‘수거 대상’으로 적시된 이들이 헌법재판소에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을 촉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했다. 24일 고민정·김용민·서영교·윤건영·이성윤(더불어민주당)·황운하(조국혁신당) 의원과 김민웅 촛불행동 상임대표 등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헌재에 윤 대통령 탄핵 인용을 촉구했다.

12.3 비상계엄을 사전 모의하고 포고령을 작성한 혐의를 받는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지난해 12월 24일 서울 은평구 서울서부경찰서에서 검찰에 송치되기 위해 호송차로 이동하고 있다. 강진형 기자
이들은 문재인 전 대통령 등 각계 500여명의 수거 대상 목록이 적힌 이른바 '노상원 수첩'을 거론하며 "수거 대상들에 대한 체포 및 사고 처리 계획 등이 실현돼 유혈 사태로 참극이 빚어졌다면 어땠을지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고 말했다.
헌재에 제출한 탄원서에서는 “탄원인들은 피청구인(윤 대통령)이 선포한 비상계엄이 시행됐을 경우 우선적으로 체포, 수거돼 생명, 신체에 위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었던 피해자들”이라며 “피청구인과 내란 일당의 끔찍한 계획이 실행됐을 수도 있다는 점과 노상원 수첩에 기재된 수거 방법의 잔혹성 등을 접하면서 억누르던 공포심이 하루하루 되살아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만약 피청구인이 직무에 복귀한다면 이번에 실패한 수거 계획을 다시 실행할 것”이라며 “다시 말해 이번 탄핵 재판은 탄원인들의 목숨이 달린 중차대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 복귀 시 위헌적 행태에 저항하는 국민의 기본권은 무수히, 고강도로 침탈당할 것이며, 1980년 광주 민주화운동과 같은 유혈 사태도 발생할 개연성이 매우 높다"며 "12·3 비상계엄의 피해자 혹은 잠재적 피해자로서 윤 대통령에 대한 파면 선고를 간절하게 호소한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향후 윤 대통령에 대한 내란 목적 살인 예비, 음모 혐의 고발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도 밝혔다.
25일 헌재는 윤 대통령 탄핵 심판의 마지막 변론기일을 연다. 마지막 변론에서는 국회 탄핵소추 위원장인 정청래 국회 법제사법위원장과 피청구인인 윤 대통령의 최종 의견 진술이 시간제한 없이 허용된다. 윤 대통령은 최후 진술에 직접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현직 대통령이 탄핵 심판 최후 진술을 직접 하는 것은 헌정사상 처음이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