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이스라엘 탱크, 23년 만에 요르단강 서안 진입…"긴장 고조"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서안 난민 캠프, 군 활동 강화 지시
2단계 휴전 협상 진행중

이스라엘군 탱크가 23일(현지시간) 요르단강 서안에 23년 만에 처음으로 진입했다. 팔레스타인 당국은 이에 대해 "위험한 긴장 고조(dangerous escalation)”"라고 반발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AP통신에 따르면 이날 이스라엘에 대항하는 무장 투쟁의 거점이던 서안 북부 제닌으로 소수의 탱크가 이동하는 것이 목격됐다. 이 지역에 탱크가 배치된 것은 이스라엘군이 치명적인 팔레스타인 봉기에 맞서 싸웠던 2002년이 마지막이었다. 서안은 국제법상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가 행정권을 가진 곳이지만, 이스라엘이 1967년 3차 중동전쟁에서 승리한 후 점령하고 있다. 이후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해 이스라엘인 50만명이 서안으로 이주한 상태다.

팔레스타인 외무부는 이스라엘의 이러한 움직임을 "서안 지구 상황의 위험성을 고조하는 행위"라고 규정하고 국제사회가 이스라엘의 불법적인 침략에 개입할 것을 촉구했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서안의 모든 난민 캠프에서 "테러를 막기 위해 활동의 강도를 높이라"고 군에 명령했다. 그는 이에 앞서 서안 일부 난민 캠프에서 "내년까지 장기 주둔에 대비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고 통신은 덧붙였다.


이스라엘은 지난달 19일 가자지구에서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휴전한 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제거를 명분으로 서안 곳곳에서 군사작전을 벌이고 있다. 이로 인해 제닌, 툴카렘, 투바스 인근 등 서안 북부지역 3곳에서만 수천 명이 집을 떠나는 등 팔레스타인 주민 약 4만명이 피란길에 올랐다고 유엔(UN)은 전했다. UN은 현재 이스라엘의 군사 작전이 2000년대 초 팔레스타인 봉기 이후 가장 길다고 했다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과 하마스 사이의 휴전 가능성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휴전 협상이 실패하면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무력충돌이 다시 발발할 가능성이 크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23일에 "우리는 언제든지 격렬한 전투로 돌아갈 준비가 됐다"며 이스라엘군은 가자 지구 주변에서 군 작전준지를 강화했다.


미국 중동 특사 스티브 위트코프는 CNN에 2단계 휴전을 위한 협상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며 "1단계 (휴전) 연장을 받아야 하므로 이번 주 아마도 수요일에 그 지역에 가서 협상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