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순식간에 사라진 가상화폐 2조원…한때 거래량 세계 2위 거래소 해킹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가상자산 역사상 최악 해킹 사례
北해킹조직 '라자루스' 소행 증거 나와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중 하나인 바이비트(Bybit)가 2조원대 해킹을 당했다. 이번 해킹은 북한 해킹 조직의 소행인 것으로 파악됐다.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은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비트가 해킹을 당해 14억6000만 달러(약 2조1000억원)의 코인을 탈취당했다고 보도했다. 바이비트 최고경영자(CEO) 벤 저우는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옛 트위터)에 "해커가 바이비트의 오프라인 이더리움 지갑 중 하나를 탈취했다"고 밝혔다. 블록체인 데이터 추적 플랫폼 아캄 인텔리전스는 탈취된 가상자산이 여러 계정으로 옮겨진 다음 매도되고 있다고 전했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픽사베이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픽사베이

AD
원본보기 아이콘

두바이에서 2018년 설립된 바이비트는 일일 평균 거래량이 360억달러(약 51조7860억원) 이상인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중 하나다. 거래량 기준 전 세계 2위에 오른 적도 있는 이 플랫폼은 해킹 전 약 162억달러의 자산을 보유 중이었다. 도난당한 이더리움은 총자산의 약 9% 정도다. 이번 해킹은 2014년 마운트곡스(4억7000만 달러)와 2021년 폴리 네트워크(6억1100만 달러) 사건을 넘어선 역대 최대 규모의 가상자산 해킹 사건이다.

아캄 인텔리전스는 블록체인 분석가 잭엑스비티(ZachXBT)가 이번 해킹은 북한 해킹 조직 라자루스 소행이라는 증거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또 바이비트의 조사를 돕는 블록체인 보안 기업 파이어블록스도 "이번 해킹은 지난해 인도 가상자산 거래소 와지르X와 대출 프로토콜 라디언트 캐피털에 대한 공격과 유사하다"면서 "두 사건 모두 북한 소행이었다"고 했다.


북한은 최근 몇 년간 해킹으로 가상자산을 탈취해 현금으로 세탁한 뒤 핵무기 개발 등에 사용한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지난달 한미일 3국은 공동성명을 내고 지난해 발생한 6억6000만달러(한화 9600억원) 규모 가상자산 탈취 사건을 북한 소행으로 공식 지목했다.


한편 이날 대규모 해킹 소식에 가상자산 가격은 일제히 하락했다.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미 동부 시간 이날 오후 3시45분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2.42% 내린 9만6116달러에 거래됐다. 비트코인 가격은 이날 한때 9만5000달러 아래까지 내려갔다. 이더리움은 3.04% 하락한 2660달러, 엑스알피(리플)는 4.62% 내린 2.57달러였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