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 '미국만' 대신 '멕시코만' 표기 고수
트럼프, 특정 언론 편애 두드러져
멕시코만의 표기를 '미국만'으로 바꾸기를 거부해 대통령 집무실 출입 금지 등 취재 제한을 당한 AP통신이 백악관을 상대로 소송에 나섰다.
21일(현지시간) AP통신은 워싱턴DC 지방법원에 도널드 트럼프 정부 당국자 3명을 상대로 취재 제한 조치를 해제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소송 대상은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과 테일러 부도위치 백악관 공보·인사 담당 부비서실장,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 등 3명이다. 이번 소송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명한 트레버 맥패든 판사에게 배당됐다.
AP는 "언론과 미국 내 모든 이는 자신이 하고자 하는 표현을 스스로 선택하고 정부로부터 보복당하지 않을 권리가 있다"면서 "백악관이 위헌적인 언론 통제 시도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AP의 뉴스 생산과 편집권 독립에 대한 공격은 수정헌법 1조의 핵심을 위배한 것"이라며 즉각 시정하라고 촉구했다. 미국 수정헌법 1조는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당일이었던 지난달 20일 멕시코만의 명칭을 미국만으로 바꾸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그러나 AP는 400년 이상 공식적으로 통용돼온 명칭인 멕시코만 사용을 고수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백악관은 AP에 대해 대통령 집무실과 전용기 취재금지 조처를 하며 맞섰다.
일각에서는 백악관이 표면적으로는 멕시코만 표기를 취재 제한의 이유로 내세우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진보적인 AP의 '스타일북'을 문제 삼은 것이라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소장에 따르면 와일스 비서실장은 AP에 메일을 보내 스타일북에서 멕시코만 표기를 수정할 것을 요청했다. 또 그는 "스타일북의 영향력이 분열적이고 당파적인 의제를 추진하기 위해 때때로 오용되고 무기화됐다"고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부도위치 부비서실장도 "미국만에 대한 문제만은 아니다"라며 "AP가 스타일북으로 언어를 무기화해 미국인과 전 세계인의 전통적이고 뿌리 깊은 믿음에 어긋나는 편파적인 세계관을 강요하는 것에 관한 문제"라고 악시오스에 말한 바 있다.
한편 지난 20일 백악관 출입기자단(WHCA)은 AP에 대한 취재 제한 조치가 부당하다고 서한을 통해 항의했다. 이 서한에는 최소 40개 언론사가 이름을 올렸으며, 이 가운데에는 보수 성향인 폭스뉴스와 뉴스맥스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서한의 내용은 '수정헌법 1조는 정부가 언론사의 편집권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며, 편집권과 관련해 언론인을 처벌하려는 시도는 헌법 위반'이라는 취지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폭스뉴스에 첫 단독 인터뷰 기회를 제공하거나 전임인 조 바이든 대통령이 남긴 서한을 넘기는 등 특정 언론을 편애하는 듯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백악관은 AP 외에도 미국 방송사 CNN과도 갈등을 빚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CNN 9시 뉴스 간판 앵커인 케이틀런 콜린스의 질문을 받고 "누가 CNN을 보는가"라고 반문하며 "CNN은 바이든의 친구다. 이들은 신뢰를 잃었다"고 대놓고 조롱하기도 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회사 끝나고 단골집서 '한잔' 해야는데…요즘 청년들이 우울한 이유[세계는Z금]](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21807500335612_1739832603.p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