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딥시크 충격' 없었다…"챗GPT 주간 이용자 4억명"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2개월만에 이용자수 33% 증가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등장에도 오픈AI의 챗GPT 이용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20일(현지시간) 브래드 라이트캡 오픈AI 최고운영책임자(COO)는 미국 경제매체 CNBC와의 인터뷰에서 "2월 기준 챗GPT 주간활성이용자수(WAU)가 4억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2월 3억명에서 불과 2개월 만에 33% 증가한 수치다.

'딥시크 충격' 없었다…"챗GPT 주간 이용자 4억명" 원본보기 아이콘

라이트캡 COO는 "사람들이 입소문을 듣고 주변에서 사용하는 것을 보면서 그 유용성을 확인하고 있다"며 이용자들이 챗GPT의 유용함과 필요성을 느끼고 실제 사용 효과를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개인 고객은 물론 기업 고객도 많이 늘어나고 있다. 현재 유료 기업 이용자 수는 200만명으로 지난해 9월 대비 두 배 증가했다고 라이트캡 COO는 밝혔다. 주요 고객은 차량 공유업체 우버와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 제약회사 모더나, 통신회사 T-모바일 등이다.


라이트캡 COO는 "개인적으로 챗GPT를 사용한 이용자들이 회사에 이 도구를 사용하도록 제안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개발자 트래픽 또한 지난 6개월 동안 두 배 증가했으며 특히 추론 모델인 'o3'의 경우 5배 증가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소비자 시장은 개인적 필요에 따라 AI 도구나 서비스를 즉시 사용할 수 있어 새로운 기술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기업의 경우 (기술 도입을 위해 기반을 다지는) 구축 과정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챗GPT 이용자 급증은 중국의 딥시크 모델이 전 세계 기술 업계를 강타한 가운데 나왔다. 딥시크가 최근 내놓은 AI 모델 V3와 R1은 미국의 대형 기술기업들이 내놓은 모델의 10분의 1도 안 되는 개발 비용에도 일부 테스트에서 오픈AI의 모델보다 우수한 성능을 내면서 주목을 받았다. 지난달에는 딥시크 모델 앱이 애플 앱스토어 무료 앱 다운로드 순위에서 챗GPT를 밀어내고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이에 라이트캡 COO는 딥시크와의 경쟁이 오픈AI의 전략과 제품 개발, 대규모 투자 계획 등을 바꾸지는 않았다며 "딥시크의 사례는 AI가 대중들에게 얼마나 인식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