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낙동강권역의 경북 영천댐이 가뭄 ‘주의’ 단계에 진입했다고 20일 밝혔다.
영천댐의 가뭄 주의는 지난 19일 16시에 발령됐다. 지난달 25일 가뭄 ‘관심’ 단계에서 한차례 격상됐다. 이날 기준 저수율은 34.4%로 예년 대비 92.7% 수준이다.
영천댐 유역 강수량은 지난해 12월1일부터 올해 2월19일까지 15.6mm 남짓이다. 예년의 25.6%에 불과하다.
포항 제2취수장의 가동보 고장은 영천댐의 가뭄을 악화시켰다. 해당 보는 올해 초 한파로 하천이 얼면서 작동이 멈췄다. 이에 영천댐에서 하루 3만t에 달하는 생활·공업용수를 공급 중이다. 수리가 지연되면서 영천댐의 저수량이 더 빠르게 낮아졌다는 게 환경부 설명이다.
환경부는 영천댐 가뭄 악화를 막기 위해 하천융지용수(하루 최대 4만t)를 감축하기로 결정했다. 또 임하댐과 연계해 공급하는 금호강 수질개선용수(하루 최대 19만2000t)를 단계적으로 감량한다. 하천유량이 줄고 수질이 악화할 경우를 대비해 수질 감시망도 강화한다.
또 형산강의 수질과 유량이 양호하면 관계기관 협의를 통해 부조취수장의 가동량을 증량할 계획도 세웠다. 이 경우 영천댐에서 공급하는 생활·공업용수 40만t의 일부를 하천수로 대체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전국에서 가뭄단계에 접어든 곳은 영천댐과 보령댐이다. 금강권역 보령댐(충남 보령시 소재)은 지난달 2일 가뭄 ‘관심’ 단계에 접어들었다. 현재 보령댐은 안정적 용수공급을 위해 도수로를 가동해 금강에서 하루 11만5000t의 물을 끌어오고 있다.
박재현 환경부 물관리정책실장은 “댐 가뭄 상황에 진입한 낙동강권역 영천댐과 금강권역 보령댐의 저수 및 용수공급 현황을 상시적으로 살펴보고 있다”며 “관계기관과 협력해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