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살아있는게 고통" 해변 좌초한 157마리 돌고래 떼 안락사 결정한 호주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흑범고래 157마리 해변가에 좌초
"뭍에 있으면 오히려 고통 더 커져"

호주 해변으로 밀려든 돌고래 떼 150여마리 구조에 실패한 당국이 결국 살아있는 개체를 모두 안락사하기로 했다. 해변에 좌초한 돌고래들은 이미 호흡곤란 등으로 상당수 사망했으며, 생존한 개체들도 극심한 고통을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19일(현지시간) AP 통신, AFP 통신 등 외신 보도를 종합하면 전날 오후 호주 남동쪽 태즈메이니아섬 서북부 해변에선 돌고래의 일종인 흑범고래 157마리가 발견됐다. 현지 환경 당국은 해당 고래들이 좌초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호주 남동쪽 태즈메이니아섬 해변에 좌초한 흑범고래들. 엑스(X) 캡처

호주 남동쪽 태즈메이니아섬 해변에 좌초한 흑범고래들. 엑스(X) 캡처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들 고래 떼는 호흡곤란 등으로 인해 이날 오후까지 90여마리만 살아남았다. 당국은 돌고래를 깊은 바다로 견인해 구조하려 했다. 하지만 태즈메이니아섬 인근 해변은 사람이 접근하거나, 전문 장비를 운반하기 어려운 외진 공간인 데다, 날씨와 바다 상태도 거칠어 결국 구조에 실패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살아 있는 돌고래도 햇빛과 강풍에 노출되면서 고통 받고 있다고 당국은 전했다. 호주 환경 당국 사고 관리자인 셸리 그레이엄은 매체에 "돌고래들이 계속해서 다시 밀려들고 있다"며 "전문가의 수의학적 평가에 따라 이들을 안락사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해양 생물학자인 크리스 칼리온은 "모든 대안이 실패했다"며 "이들은 뭍에서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더 오래 고통받는다"고 설명했다.

흑범고래는 길이 최대 6m까지 자라는 돌고래로, 보통 50마리 이상이 무리를 지어 살아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고래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 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상 위험 정도는 2번째로 낮은 '준위협' 단계로 분류된다.


한편 고래 떼가 해안가에 좌초하는 사건은 간혹 벌어진다. 흑범고래가 대규모로 좌초된 사례는 약 반 세기 만에 처음 있는 일로 알려졌다. 호주에서 흑범고래 집단 좌초 사례가 처음으로 보고된 건 1974년 6월 태즈메이니아 북서부 블랙 리버 해변으로, 당시 160~170마리의 흑범고래가 떼죽음을 당했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