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부자가 되고 싶다면…"30대 몸, 40대 머리, 50대 시간을 써라"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한화투자증권이 '투자전략-부자의 기술' 리포트를 통해 연령대별 부자가 되기 위한 조언을 내놨다.

40대에는 경력과 소득이 정점을 찍는 시기이기 때문에 소득을 자산으로 전환해야 하는 시기다.

박 연구원은 "40대는 머리를 써야 한다. 잘 벌고, 잘 쓰고, 자산도 많고, 부채도 많다"며 "소비지출을 줄일 게 없어서 세금을 줄여야 한다. 잉여 소득이 쌓여야 투자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한화투자증권 연령대별 부자 리포트
"부자의 기준은 불로소득·자제력"

한화투자증권이 '투자전략-부자의 기술' 리포트를 통해 연령대별 부자가 되기 위한 조언을 내놨다.


박승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17일 리포트를 통해 "부자에 대한 정의는 자의적이지만 누구나 인정하는 부자들은 비슷한 기준들을 제시했다"며 "불로소득으로 비용을 충당할 수 있고, 부자가 된 이후엔 더 욕심을 부리지 않는 자제력"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첫번째 기준에 해당되는 부자 가구는 우리나라 전체가구의 1% 남짓"이라고 덧붙였다.

리포트에 따르면 사람에게는 인적자본과 금융자본이 있다. 박 연구원은 "인적자본은 20대까지 받은 교육으로 형성하고 근로소득의 원천이 된다"며 "금융자본은 근로소득을 모아 형성하고 재산소득의 원천이 된다"고 했다. 또 "소득을 자산으로 바꾸는 도구는 시기에 따라 다른데 가진 게 없을 땐 성실함, 조금 모이면 지식, 충분하면 시간"이라고 덧붙였다.


픽사베이

픽사베이

AD
원본보기 아이콘

그러면서 부자가 되기 위한 연령별 제안을 내놨다. 그는 "30대는 몸을 써라. 성장하는 시기"라며 "부자는 아직 없지만 소득과 자산 모두 증가율이 높고, 수익률이 가장 높은 건 자기 자신에 대한 투자"라고 말했다. 특히 "전문성은 가장 강력한 무형자산"이라며 "30대 상위 1%의 근로소득은 자산을 축적하기에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40대에는 경력과 소득이 정점을 찍는 시기이기 때문에 소득을 자산으로 전환해야 하는 시기다. 박 연구원은 "40대는 머리를 써야 한다. 잘 벌고, 잘 쓰고, 자산도 많고, 부채도 많다"며 "소비지출을 줄일 게 없어서 세금을 줄여야 한다. 잉여 소득이 쌓여야 투자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실행은 전혀 다른 노하우이기 때문에 작은 경험이라도 해본 사람이 유리하고, 조언그룹을 두는 걸 추천한다"고 덧붙였다.

50대는 소득이 유지되면서 비용은 줄어드는 시기다. 교육비가 감소하고 여가비는 늘면서 삶의 질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박 연구위원은 "50대는 시간을 내 편으로 만들어야 한다"며 "금융자산과 비주거부동산이 자산소득의 원천"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들이 금융부채보다 많고 경상소득이 흑자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산이 늘어서 시간이 내 편이라고 할 수 있다"며 "50대는 손실을 보면 복구할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투자는 방어적이어야 하고 포트폴리오는 분산돼 있어야 한다"고 평가했다.





박현주 기자 phj0325@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