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난현 산둥순톈화공그룹 사직 요구
"결혼 후 자녀 낳아 사회 공헌해야"
중국 내 논란 공지 모든 규정 폐기
중국 산둥성의 한 기업이 미혼 직원들에게 올해 9월까지 결혼하지 않을 경우 사직을 요구하겠다고 공지했다. 이후 당국의 시정 요구를 받자 철회했다.
연합뉴스는 17일 중국신문망과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 등을 인용해 이난현 산둥순톈화공그룹(山東舜天化工集團)은 최근 사내 공지를 보도했다.
이 그룹은 "28∼58세 미혼 직원(이혼자 포함)은 기한 내에 가정을 꾸리고 자녀를 낳아 국가의 기둥을 교육하고 사회에 공헌해야 한다"고 공지했다. 이어 "모든 직원이 일을 열심히 하고, 가정을 꾸리며 가족을 안심시키는 것이 바로 효(孝)"라며 "2025년 9월 30일 이전에 개인의 결혼 문제를 해결하도록 알린다"고 요구했다.
결혼하지 못할 경우 문제삼겠다는 공지도 했다. 이 그룹은 "1분기까지 결혼하지 않으면 반성문을 제출하고, 2분기까지 안 되면 회사가 심사를 진행하며 3분기까지 요구사항을 완수하지 못하는 경우 회사는 근로계약을 해지할 것"이라고 했다.
이후 공지문 내용은 온라인에서 퍼지며 한때 웨이보 실시간 검색어 상위에 오르는 등 중국 내에서 논란이 됐다. 결국 해당 그룹은 이난현 인사사회보장국으로부터 시정 시지를 받은 회사 측은 공지 내 모든 규정을 폐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룹 측은 "당초 의도는 미혼 직원들이 인생 대사를 위해 일정한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도록 독려하는 것이었다"면서 "이런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내부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중국은 인구 감소 문제 해결을 위해 결혼·출산 장려 정책을 펴고 있지만 지난해 혼인신고 건수가 20% 넘게 감소하며 44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중국 민정부는 지난 8일 공개한 '2024년 4분기 민정 통계 데이터'에서 지난해 전국에서 610만 6000쌍이 혼인신고를 했다. 이는 전년도 혼인신고 건수 768만건에서 20.5%(157만4000건) 급감한 것이다. 이는 지난해 혼인신고 건수가 1980년 혼인법 개정으로 관련 통계 집계가 확립된 이후 가장 적은 수치라고 알려졌다.
이후 중국 당국은 저출산 고령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각종 출산 지원책을 도입하고 대학에서 연애·결혼 관련 강의를 도입하도록 촉구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다만, 가임 인구 감소와 청년층의 결혼·출산 기피 등 근본 상황은 바뀌지 않고 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