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화에 돼지가죽 사용 표기 안 해
이슬람서 돼지 금기시…신발·의류도 허용 안 돼
독일의 글로벌 스포츠용품 업체 ‘아디다스’가 운동화에 돼지가죽이 사용됐음에도 이를 표기하지 않아 튀르키예 정부로부터 벌금을 부과받았다.
13일(현지시간) AFP통신은 튀르키예 정부가 아디다스에 1만5000달러(한화 약 2100만원)의 벌금을 부과했다고 보도했다. 아디다스가 운동화 모델 ‘삼바(Samba OG)’에 돼지가죽이 사용됐음에도 이를 표기하지 않고 ‘진짜 가죽’으로만 표기했다는 이유다.
튀르키예에서는 사회 대다수의 종교적 감수성과 배치되는 재료가 제품에 사용될 경우에는 광고와 제품 설명에 이를 명확하게 표시해야 한다.
튀르키예는 전체 인구의 약 99%가 이슬람교를 믿는 무슬림이다. 이슬람 사회에서는 율법상 규정된 할랄 방식으로 제조된 식품만 먹을 수 있다. 육류 중에서는 이슬람식의 알라 이름으로 도살된 고기(염소고기, 닭고기, 소고기 등)만 이용할 수 있다.
돼지의 경우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돼지를 불결하고 부정한 동물로 여겨 금기시한다. 돼지가죽이나 돼지털을 이용해 신발이나 의류를 만드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앞서 2020년 튀르키예 국가종무국(종교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행정 부서)은 “대부분의 이슬람 학자는 돼지가죽이 가죽 가공이나 유사한 공정을 거쳐도 종교적으로 정화될 수 없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이슬람에서 돼지를 금기시하는 배경에는 관습적, 경제적, 종교적 이유가 자리하고 있다. 돼지가 이슬람교의 대표적인 금기 식품이 된 것은 7세기 이슬람교 출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부터 페니키아, 이집트, 바빌로니아 문화권에서는 돼지 혐오 문화가 전해져 왔다. 잡식동물인 돼지는 식량과 물을 두고 인간과 경쟁하는 관계였던 것이 이유로 알려졌다.
한편 AFP통신은 아디다스 측이 벌금에 대한 언급 없이 온라인상의 제품 설명을 수정했다고 전했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