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선 42만명…넷플릭스선 비영어권 영화 1위
개봉 전 계약 체결로 위험부담 크게 줄여
"불황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 전략"
극장은 홀드백 주장…문체부는 난감
극장에서 흥행에 실패한 송중기 주연의 영화 '보고타: 마지막 기회의 땅'이 넷플릭스에서는 승승장구한다. 13일 배급사 플러스엠엔터테인먼트에 따르면 지난 3일부터 9일까지 1300만 시청 수를 기록해 넷플릭스 비영어권 영화 부문 1위를 차지했다. 영어권·비영어권 영화 통합 순위에서는 '임신입니다만?(2510만 시청 수)'에 이어 2위에 올랐다. 시청 수는 시청 시간을 전체 러닝타임으로 나눈 값이다. 넷플릭스에서 상대적으로 러닝타임이 짧은 영화, 미니 시리즈 등의 인기를 정확하게 가늠하기 위해 도입했다.
'보고타'는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 콜롬비아 보고타로 향한 소년 국희(송중기)가 현지 한인 사회의 실세 수영(이희준), 박 병장(권해효)과 얽히면서 벌어지는 일을 그린 범죄물이다. 지난해 12월 31일 개봉해 42만2366명을 모으는 데 그치면서 이달 4일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됐다. 반응은 극장에서와 천지 차이다. 우리나라는 물론 영화의 배경인 콜롬비아 등 열 나라에서 1위를 기록했고, 일흔세 나라에서 10위권에 진입했다. 동남아, 유럽, 남미 등에서 고르게 관심을 받았다.
비슷한 시기(1월 28일)에 전파를 탄 '베테랑 2'에 대한 관심은 이와 판이했다. 극장에서 752만5339명을 동원하며 흥행했으나 넷플릭스에서는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한국에서만 관심을 받는 데 그쳐 비영어권 영화 부문 순위에조차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두 영화가 재생되는 방식에는 큰 차이가 있다. '베테랑 2'는 한국어와 영어로만 제공된다. 반면 '보고타'는 두 언어는 물론 독일어, 러시아어, 일본어, 아랍어 등 서른세 언어로 스트리밍된다. 그 이유에 대해 넷플릭스 관계자는 "한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에 오리지널 영화로 소개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할 수는 없으나 계약 형태가 아주 다르다"고 말했다.
복수 관계자들에 따르면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계약에는 몇 가지 전제 조건이 있다. 대표적인 요소는 홀드백(영화가 극장에서 상영되고 IPTV, OTT 등에 유통되기까지 유예 기간을 두는 제도) 배제다. 실제로 '보고타'는 지난달 30일 극장 상영을 마감하고, 사흘 뒤 넷플릭스 전파를 탔다. 반면 '베테랑 2'는 지난해 9월 13일 개봉했고, 그해 11월 15일 IPTV 등에서 VOD로 서비스됐다. 넷플릭스에는 그로부터 두 달이 더 지나서야 공개됐다.
'보고타'와 비슷한 절차를 밟은 사례는 이전에도 있었다. 유아인·박신혜 주연의 '#살아있다', 김고은·정해인 주연의 '유열의 음악앨범', 강하늘·한효주 주연의 '해적: 도깨비 깃발', 박서준·이지은(아이유) 주연의 '드림', 탕웨이·수지 주연의 '원더랜드' 등이 한국 밖에서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로 소개됐다. 넷플릭스 관계자는 "계약의 시기나 세부적인 구조는 제각각 다르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대다수 계약은 개봉 전 체결됐다. 배급사가 관객에게 평가받기도 전에 IPTV, 디지털 케이블TV, 구글플레이 등에서의 수익을 포기했다. 넷플릭스는 이를 보전하고도 남을 금액을 제시했다고 전해진다.
복수 배급사들은 이처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와 먼저 계약하고 개봉하는 방식이 위험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관계자 A씨는 "극장 개봉으로 손익 분기점을 넘으려던 시대는 지났다. 홍보마케팅 비용을 과감하게 줄이고 새로운 활로를 찾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관계자 B씨도 "계속되는 불황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 전략"이라며 "개봉을 준비하기 전부터 극장 다음에 어떤 플랫폼으로 보내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지를 꼼꼼하게 따져본다"고 말했다.
극장의 홀드백 의무화 주장을 무색하게 하는 흐름이다. 허민회 CGV 대표이사는 지난해 9월 '2025년 예산 지원 영화업계 토론회에서 "조금만 기다리면 OTT에서 영화를 공짜로 볼 수 있어서 극장에 오지 않는다고 하는 관객이 많다"며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예산을 지원하더라도 영화가 흥행해야 선순환이 되는 만큼 홀드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남용석 메가박스 대표도 "외국 영화인들이 '홀드백을 안 하면 영화 생태계가 망가진다는 사실을 한국을 보며 배운다'고 말하더라"며 "홀드백이 잘 되어 있는 프랑스의 경우 영화산업이 코로나19 이전의 90%까지 회복했다"고 설명했다.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홀드백 도입을 굉장히 노력했는데 이해 당사자들의 의견이 합치되지 않는다"며 난색을 보였다. 계속된 불황으로 그 차이는 더 벌어질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처럼 손익 분기점을 돌파하는 영화가 적으면 홀드백 법제화는 배급사에 족쇄가 된다"며 "OTT뿐 아니라 해외 판권료 조정 등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활로를 적극적으로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른 관계자도 "홀드백 법제화로 배급사의 생존 전략을 막는다면 영화 제작 편수는 지금보다 더 줄어들 것"이라며 "기존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흐름에 맞는 방향성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역설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한 달 이자만 2억…LH에 집 못 팔면 문 닫아야" 역대급 인파 몰린 주택매입 설명회](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21315142731503_1739427267.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