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원로 유인태 전 사무총장 쓴소리
차기 대선 화두로 '통합 행보' 강조해
"이재명, 尹 사라지니 독보적 비호감"
야권 원로인 유인태 전 국회 사무총장이 향후 대선의 화두로 통합을 강조하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향해 "그동안 지은 죄가 많다"고 비판했다. 유 전 총장은 13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정치 양극화가 극심해 이번 대선에서 누가 집권을 하든, 또 헌법재판소 판결이 어떻게 나오든 굉장히 혼란스러울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말로만 '통합하자'고 외친다고 될 일은 아니고 거기에 따른 제도 개혁, (즉) 선거구제나 개헌 등에 대해 얼마만큼 국민들에게 설득력 있게 공약하고 지켜나가느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진행자가 '최근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부겸 전 국무총리 등 비명계 대선주자들과 잇달아 회동 일정을 예고한 것이 통합 행보 아니겠느냐'고 묻자 유 전 총장은 "이재명 대표 하기 나름"이라며 "그동안 지은 죄가 많지 않느냐. 지난 총선 공천 과정에서 얼마나 모질었냐"라고 꼬집었다. 이어 "워낙 신뢰를 잃어 비호감도 제일 높은 정치인 아닌가"라며 "원래 윤석열 대통령과 엇비슷했는데 한 사람 사라지니까 독보적인 비호감 정치인이 됐다"고 했다.
이날 이 대표와 김 전 지사의 회동에 대해서는 "지금 누구를 만나고 무슨 정책을 얘기해도 결국은 무신불립(無信不立·믿음이 없으면 일어설 수 없다는 뜻)"이라며 "단시간에 신뢰가 회복될지는 모르겠다"고 했다. 앞서 김 전 지사는 지난달 29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2022년 대선 이후 치러진 지방선거와 총선 과정에서 치욕스러워하며 당에서 멀어지거나 떠나신 분이 많다"며 "진심으로 사과하고 기꺼이 돌아오실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적었다.
국민의힘 대권 주자 가운데는 유승민 전 의원을 주목했다. 유 전 총장은 "사실 눈여겨볼 친구는 유승민 전 원내대표"라며 "후보 될 가능성이 좀 작아서 그렇지, 만약에 후보가 된다면 확장성에 있어서는 다른 후보들에 비해 제일 압도적일 것"이라고 했다. 진행자가 '이재명 대표와 본선에서 1대 1로 붙었을 때 가장 경쟁력 높은 여당 후보가 누구이겠느냐'고 묻자 "그게 유승민"이라면서도 "그 동네가 자꾸 더 오른쪽으로 가니, 그 당 지지층에 지금 그럴 만한 안목이 있을까"라고 말했다.
헌법재판소의 윤 대통령 탄핵 심판에 대해서는 "만장일치로 인용될 거라고 보인다"라며 "재판관이 만대에 자기 후손들을 이완용 후손 만들려고 그러겠느냐. 그럴 재판관은 하나도 없을 것"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의 헌재 변론을 향해서는 "지난 총선 때 조국이 '비법률적 방식으로 명예 회복을 하겠다'고 해서 '그게 무슨 소리인가, 희한한 소리다' 했는데 지금 윤 대통령이 헌재에 임하는 것이 '비법률적 방식의 명예 회복'을 차용한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한동훈 "계엄날 밤 1초도 망설인바 없다…겁 먹은 ...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한국인들 미쳤다"…라이브 방송서 '이것' 한 입 먹더니 극찬한 팝스타 [특징주]](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412543780113_1761278078.jpg)





![[특징주]SAMG엔터, 리사 '하츄핑' 인증샷에 27%대 급등](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410123679742_1761268355.jpg)









![[리셋정치]실장 외교, 참모 정치의 명암](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414284062386A.jpg)
![[초동시각]국립대병원이 '지역·공공의료' 지키려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410314631885A.jpg)
![[기자수첩]'편면적 구속력' 도입이 불안한 이유](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410461757219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