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안 가고 말지"…4인 가족에 '620만원' 필요하다는 '꿈의 테마파크' 외면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세계인의 '꿈의 테마파크'이자 디즈니의 핵심 사업인 디즈니 월드가 가격 문제로 고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미국 가정은 더는 디즈니 월드를 이용할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투어링 플랜은 2023년 기준, 부모 2명이 자녀 1명을 데리고 디즈니 월드를 여행하는 비용이 미국 내 소득 하위 40% 가구의 연간 전체 여행 예산을 초과한다고 분석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디즈니 월드, 가격 급등하면서
방문객 수 성장도 주춤

세계인의 '꿈의 테마파크'이자 디즈니의 핵심 사업인 디즈니 월드가 가격 문제로 고심하고 있다. 그동안 테마파크 이용료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방문객들이 발길을 돌리고 있는 탓이다.


미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데이터 업체인 '투어링 플랜' 집계 자료를 인용해, 두 자녀를 둔 평범한 미국인 부모가 디즈니 월드를 즐기는 비용을 계산했다고 지난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세계인의 '꿈의 테마파크'이자 디즈니의 핵심 사업인 디즈니 월드가 가격 문제로 고심하고 있다. 그동안 테마파크 이용료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방문객들이 발길을 돌리고 있는 탓이다. 게티이미지.

세계인의 '꿈의 테마파크'이자 디즈니의 핵심 사업인 디즈니 월드가 가격 문제로 고심하고 있다. 그동안 테마파크 이용료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방문객들이 발길을 돌리고 있는 탓이다. 게티이미지.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들 4인 가족이 디즈니 월드를 나흘 동안 방문하려면, 지난해 기준 4266달러(약 622만원)를 지출해야 한다. 디즈니 월드에 가기 위한 교통비를 제외한 비용이다. 5년 전 3230달러(약 471만원) 대비 44% 올랐다.


디즈니 월드 이용료가 급격히 상승한 원인은 여러 서비스의 유료화에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투어링 플랜은 이런 '유료화 전환'이 전체 비용 증가의 80%를 차지한다고 분석했다.


미국 플로리다주 디즈니 월드.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플로리다주 디즈니 월드. 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대표적인 사례가 '패스트 패스'(fast pass·줄 건너뛰기)다. 디즈니 월드는 지난해부터 줄을 서지 않고 원하는 놀이기구를 곧바로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패스트 패스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 티켓은 기본 입장권 외에 별도로 구매해야 하며, 등급제로 나뉜다. 가장 낮은 등급은 137.39달러(약 20만원)이며, 최대 478.19달러(약 70만원)까지 책정됐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미국 가정은 더는 디즈니 월드를 이용할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투어링 플랜은 2023년 기준, 부모 2명이 자녀 1명을 데리고 디즈니 월드를 여행하는 비용이 미국 내 소득 하위 40% 가구의 연간 전체 여행 예산을 초과한다고 분석했다.


온라인 대출 업체 '렌딩트리'에 따르면 지난해 6월까지 디즈니의 리조트를 방문한 응답자 중 45%가 여행 경비를 마련하기 위해 빚을 졌다고 답했다고 한다.


비용 폭등을 감당할 수 없게 된 가계들은 이제 디즈니를 떠나 다른 여행지를 찾고 있다. 디즈니 월드 대신 유럽 여행을 택한 한 가정은 매체에 "디즈니 리조트 멤버십을 팔고 그 돈으로 네덜란드를 3주 관광했다"라며 "(디즈니는) 비용 대비 가치가 없다"고 비판했다.


디즈니 측은 투어링 플랜의 분석이 과장됐으며, 디즈니 월드가 제공하는 여러 옵션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WSJ는 미국 내 디즈니 월드 방문객 수 성장세가 주춤한 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작년 9월 마감된 디즈니의 지난해 회계연도 실적을 보면, 디즈니 월드 방문객 수는 전년 대비 1% 증가에 그쳤다.


디즈니는 전체 영업이익의 약 70%를 테마파크 등 '익스피리언스' 사업부에서 창출한다. 이용객 수가 늘지 않으면 그룹 실적에도 타격이 가는 셈이다. 이를 두고 투어링 플랜 창업자인 렌 테스타는 매체에 "디즈니가 제 살을 갉아먹기 시작한 격"이라고 평가했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