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둘러싼 美·동맹국 vs 中 대결 구도
보안 우려에 美 '금지법' 발의
韓 정부·기업도 차단 추세 동참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를 둘러싸고 중국 대 미국과 동맹국 진영 간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중국 정부가 해명에 나섰음에도 각국은 보안 우려를 들어 접속을 속속 차단하고 있다. 이탈리아가 딥시크 다운로드 자체를 막은 가운데 미국은 ‘딥시크 금지법’ 발의를 앞두고 있다. 한국 정부와 기업도 이 같은 추세에 동참하고 있다.
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공화당 소속 다린 라후드 하원의원(일리노이주)과 민주당의 조시 고테이머 하원의원(뉴저지주)이 7일 정부 소유 기기에서 딥시크 사용을 차단하는 법안을 발의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법안이 통과되면 연방정부 기관은 딥시크와 딥시크 모회사 하이플라이어가 개발한 모든 애플리케이션(앱)을 정부 소유 기기에서 제거해야 한다. 현재 미국에서는 해군과 미 항공우주국(NASA) 등 정부 기관과 텍사스주 등 일부만 딥시크를 차단했다.
딥시크는 개발 비용이 저렴하고 전력 소모도 적지만 성능은 미국 기업에 못지않은 AI 모델로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딥시크에 사용자 정보를 중국 국영통신사 차이나모바일로 전송하는 코드가 숨겨져 있다는 주장이 나오며 보안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날 사이버보안업체 페루트 시큐리티의 이반 차린니 최고경영자(CEO)는 이 같은 코드 해독 결과를 공개했다.
이에 중국 외교부는 “기업에 위법한 데이터 수집·저장을 요구한 적 없고, 요구하지도 않을 것”이라며 진화에 나섰다. 딥시크도 “최근 일부 위조 계정과 근거 없는 정보가 대중을 오도하고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 같은 해명에도 세계 각국은 딥시크를 차단하는 추세다. 앞서 이탈리아는 앱 마켓에서 딥시크를 전면 차단했으며 호주, 대만, 일본은 정부 소유 기기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한국 정부 부처와 기업도 딥시크 접속 차단에 나섰다.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주요 부처는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사용을 제한했으며, 금융당국도 차단을 지시했다. 주요 증권사들도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IT·통신업계에서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사내망 차단과 직원 개인 PC 사용도 자제하도록 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외부 AI 서비스 업무 사용을 금지하는 방침을 유지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과 강북삼성병원 등 대형병원도 딥시크 차단을 완료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유한양행, 대웅제약 등도 사내에서 딥시크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1500% 성과급 적다고 시끄럽더니…600만원 수준 자사주 더 준다는 SK하이닉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20511065320339_1738721214.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