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기 가 자동차 자율주행의 핵심 장치인 라이다(LiDAR) 시스템에 탑재되는 MLCC(적층 세라믹 커패시터)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MLCC는 1005 크기(가로 1.0㎜, 세로 0.5㎜)에 2.2uF(마이크로패럿) 용량과 10V(볼트) 고전압을 지원하며, 기존 6.3V 대비 약 60% 높은 전압을 구현했다.
이 제품은 동일 규격에서 세계 최초로 자동차 전장 부품 신뢰성 인증(자동차 전장 부품 신뢰성 인증(AEC-Q200, Automotive Electronics Council-Q200)을 획득했다.
MLCC는 전자제품의 회로에서 전류가 일정하고 안정적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부품이다. 스마트폰, PC, IT기기, 가전제품,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특히 자동차에는 동력전달, 안전, 주행, 인포테인먼트 등에 최소 3000~1만 개의 MLCC가 탑재된다.
라이다는 빛(Light)과 레이더(Radar)의 합성어(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로, 초당 수십 바퀴를 회전하며 고출력 레이저 펄스를 사용해 주변 환경을 정밀하게 인식하는 기술이다.
차량에 라이다를 장착하면 실시간으로 360도 방향에서 거리, 폭, 높낮이 정보를 측정해 3D 환경을 분석할 수 있으며, 자율주행 기능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번에 개발된 MLCC는 자율주행 라이다 시스템의 안정적인 전원 공급과 신호 전달을 지원한다. 라이다는 차량 주변을 정밀하게 감지하고 거리 측정을 통해 안전한 주행을 보장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작동을 위한 고신뢰성 MLCC가 필수적이다. 또한, 차량 외부에 장착되는 라이다 시스템의 특성상 온도, 습기, 충격 등 다양한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높은 신뢰성을 확보했다.
MLCC는 일반적으로 전압과 용량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어려운 부품이다. 전압을 높이기 위해 전기를 저장하는 유전체를 두껍게 만들면 내부 유전층 수가 줄어 용량 증가가 어렵기 때문이다. 삼성전기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첨가제와 유전체 내 공간을 최소화하는 신공법을 적용해, 높은 전압에서도 안정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했다.
삼성전기는 이번에 개발한 MLCC를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차량 바디(Body), 섀시(Chassis),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등 다양한 응용처에 적용할 계획이다.
삼성전기 컴포넌트솔루션 사업부장 최재열 부사장은 "자동차의 전장화로 고성능·고신뢰성 MLCC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며, "삼성전기는 MLCC의 재료, 설비, 공법 등 요소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고부가 제품을 중심으로 성장 시장에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기는 초소형, 초고용량 MLCC 기술력을 기반으로 고온, 고압, 고신뢰성을 갖춘 전장 제품 라인업을 강화하고 있으며, 글로벌 자동차 부품업체 및 완성차 제조사를 대상으로 MLCC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당근'하러 갔는데…"시공간이 뒤틀린 것 같다"며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