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상무부에 국부펀드 설립 지시 행정명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부펀드 신설을 추진한다. 중국계 동영상 공유 플랫폼인 틱톡 매입에 이 펀드를 사용할 가능성도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인 오벌오피스에서 재무부와 상무부에 국부펀드 설립을 지시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전에 없었던 국부펀드를 갖게 될 것"이라며 "여러분들이 지난 2주 동안 봤겠지만 우리는 부를 창출하는 많은 것들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른 사람들, 내 전임자들은 부를 감소시켜 왔다"고 지적하며 "우리는 많은 부를 창출해 왔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를 "따라잡고 싶다"며 미국은 짧은 시간에 가장 규모가 큰 국부펀드 중 하나를 갖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국부펀드 설립을 주장해 왔다. 고속도로, 공항, 제조업, 의료 연구 등 국가 인프라 사업에 국부펀드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했었다. 이날 국부펀드 재원에 대한 언급은 없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전에 관세 등으로 재원을 충당하겠다고 밝힌 적이 있다.
그는 이날 미국 정부가 국부펀드를 활용해 틱톡을 인수할 수도 있다는 뜻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아마도 틱톡과 무엇을 할 수도, 하지 않을 수도 있다"며 "우리는 그것(틱톡)을 국부펀드에 넣을 수도 있고 아니면 다른 부유한 사람들과 협력할 수도 있다. 선택지는 많다"고 말했다.
그는 취임일인 지난달 20일 '틱톡 금지법' 시행을 75일간 유예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틱톡 금지법은 틱톡 모기업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을 경우 미국 내 서비스를 중단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당시 그는 미국 기업이 틱톡 지분 50%를 매수하는 구상을 제시했는데, 이날 국부펀드를 틱톡 매수에 활용하는 방안을 언급한 것이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서명식에 배석한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향후 12개월 이내에 국부펀드를 신설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미국 정부의 엄청난 규모, 기업과의 사업은 미국인들에게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국부펀드를 활용해 백신 제조업체 지분을 인수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외신은 미 연방정부가 재정적자 상태에 놓여 있어 국부펀드 설립 재원 마련이 쉽지 않을 수 있다고 전했다.
현재 전 세계에서는 90개가 넘는 국부펀드가 8조달러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조 바이든 전 행정부 역시 지난해 11월 국부펀드 설립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한 바 있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홍장원 "尹, 싹 다 잡아들이라고 해" 헌재서 증언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