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수도권 아파트값 오를 때 지방은 하락
지난해 서울 아파트 가격이 반등하며 평균 매매가가 고점이었던 2021년의 99%까지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3.3㎡당 평균 3861만3000원으로, 2021년(3885만5000원)의 99.4% 수준이다.
서울 집값은 2021년 고점을 찍은 이후 2022년(3738만2000원)과 2023년(3613만5000원) 연속으로 하락했으나 지난해는 전년 대비 6.9% 상승하며 전고점 수준을 회복했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난해 3월부터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난해 3월4주차부터 12월 4주차까지 40주 연속 상승했다. 다만 12월 마지막 주에 들어서는 전주 대비 보합(0.00%)을 나타내며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도 전년 대비 4.5% 상승하며 지난해 3.3㎡당 평균 2319만9000원을 기록했다. 이는 2021년(2515만4000원)의 92.2% 수준이다.
서울 반포대교를 건너다 보면 신반포 지역에 새 아파트와 헌 아파트와 새로 짓는 아파트가 한꺼번에 보인다. 왼쪽 새 아파트는 아크로리버뷰 신반포, 오른쪽 낮은 구 아파트는 신반포 2차, 뒤로 새로 짓는 아파트는 메이플 자이 신축현장. 사진=허영한 기자 younghan@
반면 서울·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의 아파트 가격은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방 아파트 매매가격은 2021년 3.3㎡당 1030만1000원에서 2022년 959만8000원으로 6.8% 떨어졌다. 2023년(945만1000원)은 전년 대비 2.6%, 지난해(932만6000원)에는 0.3%의 하락률을 각각 기록했다.
이를 포함한 전국 아파트의 지난해 평균 매매가는 3.3㎡당 1619만5000원으로, 2021년(1765만2000원)의 91.7%에 해당한다.
사울의 아파트 가격 상승은 5년 이하의 신축 아파트를 선호하는 현상이 강해진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서울에서 5년 이하 신축 아파트의 상승률은 같은 해 1월 대비 7.8%에 달했다.
같은 조건에서 전국 아파트 상승률은 1.6%에 그쳤고, 수도권은 3.39% 상승해 지방과 서울의 온도 차이를 드러냈다.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전역 1년 안 넘었으면 재입대"…'군필자 악몽' 같...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