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유통산업 AI활용전략 발표
정부가 유통산업의 인공지능(AI) 활용률을 높이고 관련 생태계를 활성화해 향후 3년 내 국내 유통기업의 AI 활용률을 30%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이를 통해 유통기업의 재고 비용을 줄이고 소비자 배송 시간을 단축해 총 배송 비용을 20% 감축한다는 목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에서 유통산업 AI 활용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유통산업 AI 활용전략'을 발표했다.
유통산업은 밸류체인이 복잡하고 인력 투입 비중이 높아서 AI를 활용한 효율화·최적화 효과가 매우 큰 산업으로 꼽힌다. 이미 아마존, 월마트 등 글로벌 기업들도 AI를 적극 활용하는 혁신을 추진 중이다.
산업부는 유통산업의 AI 활용 전략을 수립해 현재 3% 미만인 국내 유통기업의 AI 활용률을 3년 내 10배 이상인 30%로 높이고 재고비용 20% 감소, 소비자 배송 시간 10% 단축, 총배송 비용 20% 감축 등의 효과를 꾀할 방침이다.
이번 전략은 ▲ 유통산업 AI 활용률 제고 ▲ 유통산업 AI 확산을 위한 생태계 활성화 ▲ 유통산업 AI 활용 제도·기반 구축 등으로 구성된다.
먼저 유통기업들이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AI 활용 표준 매뉴얼을 마련한다. 매뉴얼을 바탕으로 유통기업을 대상으로 AI 활용 컨설팅을 제공하고 20건 내외의 AI 활용 솔루션 개발 등을 지원한다. 유통기업, AI 기술기업, 인프라기업, 벤처 캐피탈 등이 참여하는 '유통·AI 얼라이언스'를 만들어 AI 활용 성공 사례를 발굴·확산할 방침이다.
유통 분야의 AI 기술기업 및 중소 유통기업 등에 투자하는 1000억원대 규모의 유통 분야 신규 펀드도 조성한다. 오는 2028년까지 총 10조원 이상의 기업형 밴처캐피탈(CVC) 펀드 등을 활용해 유통 AI 기술기업의 창업 활성화를 지원한다. 유통 관련 석·박사 대상 AI 역량 교육을 확대하고, AI 활용 역량을 갖춘 유통 인력을 2만명 양성한다.
AI·디지털 활용에서 필수재로 꼽히는 유통 데이터를 확충하기 위해 '상품정보 표준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데이터의 양도 현재 40만건에서 100만건으로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오승철 산업기반실장은 "인구 구조 변화, 글로벌 유통 플랫폼 기업의 국내 진출 등으로 성장 정체와 경쟁 격화에 직면한 유통산업은 AI를 활용한 혁신이 필수적" 이라며 "정부는 AI 활용전략을 통해 유통산업의 혁신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안전, 편의 제고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또 3000명 덜 뽑는다니, 박봉인데 일만 늘어"…정원감축에 뿔난 교사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031121383291139_1710160713.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