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대출 내준 저축은행 평균 33% 손실
투자금 회수 위해 소극적으로 부실정리
금리인하도 부실 매각을 지연하는 요인
저축은행 업계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투자금 회수를 기대하고 사업장 구조조정에 소극적으로 나서면서 부실 정리가 예상만큼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준금리 인하로 부동산 수요 회복이 예상되자 저축은행들은 ‘버티기’ 모드에 들어선 모습이다.
9일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 요청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까지 정리가 완료된 저축은행 PF 사업장 15곳의 평균 낙찰가격은 대출원금 대비 약 67%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들 사업장에 대출을 내준 저축은행들은 투자원금 대비 33%가량 손실을 본 것이다.
이에 대해 저축은행들의 부실 구조조정 실적은 여전히 금융당국 기대에 못 미친다는 분석이 나온다. 확정손실을 감수하면서 저가로 사업장을 매각하는 것을 꺼리는 분위기 탓에 저축은행들은 부실 처분에 소극적으로 나선다는 것이다. 금융당국이 제시한 정리시한 6개월 중 절반이 흘렀지만 경·공매 대상 PF 사업장 중 정리가 이뤄진 곳은 20% 수준에 불과하다.
2조1000억여원 규모 저축은행의 경·공매 대상 PF 사업장 중 최근까지 절차를 마무리한 사업장은 4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부동산 PF 구조조정 절차가 본격화한 지난 9월 이후 3개월 동안 저축은행 업계의 부실 정리 실적은 20% 수준에 불과한 것이다.
이혁준 나이스신용평가 금융평가본부장은 “그간 추가 손실이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사업성 높은 사업장부터 정리가 이뤄졌다”며 “저축은행들이 정리해야 할 PF 사업장은 아직 적잖게 남아 있어 당분간 어려운 시기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준금리 인하로 부실 PF 시장에 훈풍이 불 것이란 막연한 기대감도 부실채권 매각을 지연하는 요인이다. 건설경기가 살아나 대출원금의 100% 수준으로 사업장이 팔린다면 PF 부실에 대비해 쌓아둔 대손충당금을 환입할 수 있다. 이런 환입액은 수익으로 계산된다. 저축은행들은 대출원금의 30% 수준으로 충당금을 적립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저축은행 고위 임원은 “시장 상황이 좋아지면 대출원금의 100%에도 매각할 수 있는 사업장을 60~70%보다 낮은 가격으로 팔고 싶겠나”라며 “이는 추후 배임 등에 대한 책임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가장 우려스러운 상황은 투자금 회수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라고 귀띔했다.
다만 저축은행 업계 바람과 달리 저축은행 PF대출의 경우 금리 인하 효과가 제한적일 것이란 분석도 있다. 저축은행과 연계된 PF 사업장은 수도권 비주거 시설과 지방 아파트 비중이 높아서다. 금리 인하 이후 수도권 주거시설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이 회복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저축은행 사업장 중 부동산 수요 회복의 수혜를 입을 곳은 적다는 설명이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 6월 사업성 평가 세부 기준을 개편해 기존 최하위 등급인 ‘악화 우려’를 ‘유의(C등급)’와 ‘부실 우려(D등급)’로 세분화한 바 있다. 유의 등급을 받은 사업장은 재구조화 또는 자율매각을, 부실 우려 사업장은 경·공매 또는 상각을 통한 매각을 추진하도록 했다. 지난 8월 말 나온 1차 사업성 평가 결과에 따라 부실 사업장 정리가 시작됐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아시아경제와의 통화에서 “건전성 지표 개선을 위해 연말까지 더욱 속도감 높은 부실채권 정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전영주 기자 ang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로제가 먹는 이 과자 뭔가요"…라면 이어 과자·...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