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플러스 가 상승세다. 도날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대선인이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협상을 이끌 특사 파견을 준비 중이라는 소식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그린플러스는 스마트팜 수출기업이다.
그린플러스는 14일 오후 2시59분 기준 전거래일 대비 260원(3.29%) 오른 8160원에 거래됐다.
외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당선인은 곧 종전 협상을 이끌 우크라이나 평화특사를 지명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여러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외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당선인이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을 이끌 평화 특사를 곧 임명할 가능성이 있다"며 "신뢰성이 높은 고위급 인사로 예상되며 그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돌파구를 찾고 평화적 합의에 도달할 임무를 전담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우크라이나 재건지원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국토부는 이날 오전 ‘한-폴란드 인프라 및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포럼’에 참석한다. 포럼에는 폴란드와 우크라이나 주요 고위급 인사가 참석할 예정이다.
또 올해 8월에는 우크라이나 의원들이 국회를 방문하여 스마트팜 지원을 중심으로 전후 농업재건에 대한 파트너쉽을 논의하기도 했다. 농림식품부는 스마트팜 및 농업기반시설 구축에 대한 브리핑을 진행하며 유무상 ODA(공적개발원조)와 공공조달 등 다양한 협력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린플러스는 국내 최대 규모의 스마트팜 수출기업으로 농업 재건의 핵심인 최신 스마트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올해 9월에는 호주와 약 250억원 규모의 스마트팜 공급계약을 체결하였으며 10월에는 일본과 연 100억원의 독점 공급계약을 체결한바 있다.
손현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유엔의 조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는 국토의 4분의 1이상이 지뢰 위험지역으로 묶이며 15조원이 넘는 경제 손실이 나고 있다"며 "유럽 최대 농업국가 중 하나인 우크라이나에게 농업 재건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며, 스마트팜은 농업 재건의 좋은 선택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현석 기자 guspowe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