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폴란드에 처음 갔을 때 막연한 의무감에 휩싸여 아우슈비츠 비르케나우 수용소 박물관을 찾았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유대인 학살이 자행된 최대 규모의 수용소다. 이 절멸의 수용소에서 유대인을 비롯한 수용자 140만 명이 나치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수용소를 요새처럼 만드는 높은 벽, 철조망, 가스실, 소각장 등은 육신의 절멸을 자행한 거대한 폭력의 현장을 선명하게 보여준다. 희생자를 기억하고 추모하는 것은 살아남은 자가 죽음을 계속 살아있게 만드는 유일한 방법이다.
수년 만에 제주도를 방문했다. 비행기를 타기 전부터 다급한 의무감에 휩싸여 있었다. 지금까지 십여 차례 제주도를 다녀왔지만 4.3 평화공원을 방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한강 작가의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와 단편 소설 ‘흰 꽃’의 배경이 되는 제주 4.3사건은 1947년부터 7년 7개월에 걸쳐 제주도에서 일어난 민간인 학살 사건이다. 4.3사건 진상보고서는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 사건을 기점으로, 경찰과 서북청년단의 탄압에 대한 저항으로 시작해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가 봉기한 이래 1954년 9월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무력 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수많은 주민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규정했다.
4.3평화공원에는 희생자의 이름 없이 나이로만 기록되어 있는 추모비가 곳곳에 눈에 띈다. OOO의 자 1세, OOO의 여 3세… 제주의 마을에는 제삿날이 같은 집들이 많다. 한 집 건너 초상집이었던 당시 가족이 실종된 집은 모두 같은 날 제사를 지내기 때문이다. 최근 제주도는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계기로 역사교훈여행(다크 투어리즘)이 활성화되고 있다. 제주공항에서 만났던 단체 관광객과 수학여행 온 학생들을 이곳에서 다시 만날 수 있었다. 대부분 나처럼 첫 방문처럼 보였다. 4.3사건을 현기영의 소설 ‘순이 삼촌’과’ 영화 ‘지슬’로 기억하는 사람들에게 역사적 사실을 현장에서 다시 생각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을 것이다.
진실이 규명되지 못한 모든 존재는 억울하다. 은폐와 망각이라는 이름의 폭력이 교묘하게 상호 작용한다. 일방적 정보로 즉각적 판단을 내리는 모든 행위는 폭력이 될 수 있다. 위대한 문학과 정직한 저널리즘이 소중한 이유는 진실에 끝까지 천착하고 가장 신중하게 판단을 내리기 때문이다.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에 나오는 폭력에 대한 묘사는 읽기 힘들다. 한 작가는 “실제로 벌어진 일은 그보다 훨씬 끔찍해 소설에서 쓸 생각조차 할 수 없었으며, 그나마 쓴 것들도 나중에 지웠고 겨우 남은 것이 그 정도”라고 했다. 노벨문학상 심사위원들은 폭력을 아름다운 문체로 그려냈다고 말했지만, 내 생각에 그는 본래 폭력적 장면을 쓰는 데 고통스러워하기 때문에 차라리 아름다운 언어를 선택했다는 생각이 든다. 한 작가는 ‘불판 위에서 구워지는 고기를 보는 일도 힘겨울 때가 있다’는 사람이다.
제주 4.3 평화공원 관계자는 노벨상 수상 후 관람객이 크게 늘었다고 했다. 반가운 일이지만 반대의 목소리도 있다. 소설 ‘채식주의자’를 청소년 유해 도서로 규정하고 읽지 못하게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소설 ‘채식주의자’의 두 번째 챕터 ‘몽고반점’에서 형부와 처제의 관계 묘사가 윤리적으로 옳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채식주의자’를 청소년 금서로 규정하는 것은 ‘안나 카레니나’와 ‘마담 보바리’가 외도를 하다가 자살한 여자의 이야기라고 말하는 것처럼 들린다. 이것은 언어적 폭력에 가깝다. 어떤 사람 또는 사건에 대해 정확하게 알려고 하는 것을 포기하거나 망각할 때도 폭력은 작동한다.
임훈구 편집부문 매니징에디터 keygrip@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서울 아파트, 사려면 상반기에 빨리 사야…하반기...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