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中, 여전히 반도체 글로벌 공급망 허브…재편에 상당 시간 소요"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대한상의 SGI 보고서
반도체 강국 간 무역 상호의존도 높아
"공급망 재편, 생태계 강화 기회로 삼아야"

미국과 중국 간 무역갈등 이후에도 중국이 여전히 반도체 제조 공급망 허브 역할을 하고 있어,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中, 여전히 반도체 글로벌 공급망 허브…재편에 상당 시간 소요"
AD
원본보기 아이콘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22일 '반도체 5대 강국의 수출입 결합도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미국을 제외한 반도체 강국 간 무역 상호 의존도가 여전히 높아 미국의 우방국 중심 공급망 재편이 이른 시일 내에 이뤄지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와 미국, 중국, 대만, 일본 등 반도체 5대 강국의 상호 보완성 정도를 중국의 수출입결합도를 통해 분석했다. 수출입 결합도는 양국 간 무역 연계성을 나타내는 지표다. 수치가 1보다 크면 양국의 무역 관계가 상호 보완적이며, 1보다 작으면 무역 보완성이 떨어진다고 해석된다.


2022년을 기준으로 중국은 우리나라와의 메모리 반도체 수출 결합도가 2.94로 높게 나타났고 대만과의 시스템 반도체 수출 결합도 역시 1.52로 높았다. 수입에선 중국이 메모리 및 시스템 반도체 모두 우리나라(메모리 2.28, 시스템 2.21), 대만(메모리 1.50, 시스템 1.29), 일본(메모리 1.44, 시스템 2.05)과 보완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미국과의 메모리 반도체 수출 결합도는 0.62, 수입 결합도는 0.88로 미국과 중국 간 무역은 보완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SGI는 "중국이 여전히 글로벌 반도체 제조 공급망 허브로서 기능하고 있고 메모리 반도체는 우리나라와, 시스템 반도체는 대만과 긴밀한 생산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해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국내 전자·광학기기 대중(對中) 수출 비중의 40%가 중간재이며 28%는 중국에서 해외로 재수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 반도체 산업의 수출이 중국을 거점으로 한 글로벌 공급망 체인에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정형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중국이 범용 반도체 시장에서 점유율을 지속해서 높여가고 있고, 반도체 수요 시장으로서의 위상 역시 당분간은 유지할 것으로 보여 중국과 협력적 관계를 잘 관리해 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인공지능(AI) 등 첨단 반도체 기술 부문에서 미국의 우방국 중심 공급망 구축에 협력하되, 범용 반도체 부문에서는 중국과 관계를 유지해 디커플링(decoupling·공급망 등 분리)을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미·중 무역갈등 이후 반도체 부문 공급망 재편을 국내 생태계 강화의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며 정부가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전력 공급 등 인프라를 확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한 대규모 생산 설비가 필요하지 않은 반도체 칩 설계 분야는 스타트업 및 벤처기업이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는 만큼 우리 기업 육성을 위한 액셀러레이터 지원 프로그램을 대폭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박양수 SGI 원장은 "미국 대선에서 누가 당선되든 우방국 중심 공급망 구축은 더욱 강화될 것이며 범용 반도체까지 디커플링 압력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며 "우리 기업이 새로운 기회를 만들 수 있도록 첨단 산업 투자에 대한 보조금 지급이나 직접 환급 등 재정 지원 조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