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일본·필리핀 등에 발전소 건설 구상
대만이 인공지능(AI) 산업 발전으로 전력난을 겪을 것을 우려해 일본·필리핀 등 해외에 친환경에너지 발전소를 건설한 뒤 해저 케이블로 전력을 끌어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16일 중국시보, 연합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궈즈후이 대만 경제부장(장관)은 전날 타이베이시 난강 전람관에서 열린 '2024 대만섬유전시회'에서 이같은 구상을 설명했다. 태양광, 풍력, 지열 등 모든 친환경에너지가 고려대상이라는 게 궈 부장의 설명이다.
대만 당국은 지난 8월 호주 억만장자가 호주에 세계 최대 태양광 발전소를 135억 달러(약 18조3천억원)를 들여 건설한 뒤 이후 생산되는 전력 중 일부를 해저케이블을 이용, 4800㎞ 떨어져 있는 싱가포르에 수출하려는 계획이 호주 정부 승인을 받은 것에서 이번 구상을 착안했다.
그는 대만과 필리핀 루손섬 간 거리가 300여㎞라면서, 해당 그린에너지 가격이 대만산보다 더 저렴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아직 구상단계라고 언급했다.
궈 부장은 지난 6월 입법원(국회) 답변을 통해 "향후 대만에 대규모 AI 컴퓨팅 센터 5곳이 신설될 예정"이라며 "AI 산업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2028년 이후 전력난이 우려된다"고 언급한 바 있다.
대만은 주로 석탄과 가스를 사용한 화력 발전 기반이며 낡은 전력망이 가장 문제로 꼽힌다. 여기에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기업인 TSMC를 포함한 첨단 반도체 기업들의 전력 수요가 커 정전 사태도 종종 발생한다.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