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산업부, 11일 2차 정책협의회
석유화학·정유, 온실가스 배출량 24%
확실한 감축기술 없어 탄소중립 달성 난관
업계, 인프라·제도적 지원 강화 등 요청
정부와 산업계가 철강·금속에 이어 석유화학과 정유산업의 탈탄소 돌파구를 모색하기 위해 다시 한번 협력에 나섰다.
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상의 회관에서 제2차 산업부문 탄소중립 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지난 8월 철강·금속업계와 함께 탄소중립 관련 기술 개발과 플랫폼 구축 등 지원책을 논의한 데 이은 두 번째 회의다.
이날 회의의 초점은 석유화학·정유사업에 맞춰졌다. 두 사업은 석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특성상 제품 생산과 연료 연소 과정에서 탄소 배출량이 많은 대표적인 업종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과 업계에 따르면 석유화학산업과 정유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각각 4690만t(2위)과 1590만t(4위)으로, 산업 부문 전체 배출량의 24%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탄소 배출 경쟁력이 취약하지만 석유화학산업은 태양광, 풍력,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 산업들이 석유화학 제품에 의존하고 있어, 제품 수요는 2060년까지 3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가운데서 두 산업은 주요국의 탄소 규제로 인해 수출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는 현재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비료, 전력, 수소 등 6개 품목에만 적용되고 있지만, 석유화학 제품과 원유 정제 분야로의 확대 여부를 논의 중이다. 또한, 미국의 청정경쟁법(CCA) 역시 화학 제품, 석유 정제품, 에탄올 등 12개 품목을 탄소조정세 부과 대상으로 검토하고 있어, 도입 가능성이 높다.
회의 참석자들은 석유화학·정유산업의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정부의 지원이 필수적이라는 데에 공감하며 활발한 논의를 펼쳤다. 업계는 탄소 감축을 위해 탄소포집·저장(CCUS) 기술 상용화, 재생에너지 도입 확대, 저탄소·고기능 소재 기술 개발 지원 등 다양한 정책 과제를 제시하며, 이러한 투자에 대한 경제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강조했다.
정은미 산업연구원 본부장은 "산업부문 저탄소·탈탄소화는 산업간 연관관계 고려도 필수적인데 석유화학과 정유는 산업 연계성이 높으므로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 실현을 위해 공정통합, 저탄소 제품 개발과 상용화를 위해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계엄 위험수당 달라" 요구한 외국인들…"월급 원...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