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집에선 올리브영 써도 밖에선 디올"…불황에도 잘나가는 명품 화장품[럭셔리월드]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올해 명품 화장품 브랜드 성장률 두 자릿수

경기 침체 여파로 명품 가방과 패션 쪽은 매출 증가율이 둔화하고 있으나 수입 명품 화장품 쪽은 불황을 비껴가는 분위기다. 가격대가 높은 가방이나 주얼리 대신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고급스러움을 경험할 수 있는 상품을 고르는 이른바 '스몰 럭셔리' 수요가 이어진 덕분이다. 이에 따라 명품 화장품 회사들이 제품 가격을 올려도 성장세는 꺾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화장품 매출 신장률 25%
돌체앤가바나 뷰티 베스트셀러[사진제공=돌체앤가바나 뷰티]

돌체앤가바나 뷰티 베스트셀러[사진제공=돌체앤가바나 뷰티]

AD
원본보기 아이콘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의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명품 뷰티 브랜드의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 증가했다. 최근 연간 기준 매출 신장률을 보면 2022년 15%, 지난해는 10% 수준이었다. 화장품 수요는 연말에 가까워질수록 폭발적으로 늘어난다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매출 증가 폭은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집계된 매출에는 기초화장품(스킨, 로션, 크림, 세럼)과 색조 화장품(쿠션, 아이섀도, 아이라인, 립스틱), 향수 등 모든 매출이 포함됐다.

매출 기여도가 가장 큰 부분은 색조다. 롯데백화점에 따르면 같은 기간 색조 메이크업 명품 브랜드의 전년 대비 매출액 신장률은 25%로 지난해(20%)와 2022년(20%)의 신장률을 이미 뛰어넘었다.


"집에선 올리브영 써도 밖에선 디올"…불황에도 잘나가는 명품 화장품[럭셔리월드] 원본보기 아이콘

색조는 향수나 기초 제품과 비교해 가격대가 낮아 접근성이 좋다. 예컨대 지난달 국내에 뷰티 제품을 선보인 프라다 뷰티는 '모노크롬 립스틱'은 6만원, '디멘셜 듀러블 멀티_이펙트 아이섀도'는 13만원으로 가격을 책정했다. 반면 기초화장품인 '어그멘티드 스킨 세럼'(30㎖)은 55만원에, '어그멘티드 스킨 크림'(60㎖)은 54만원에 판매하고 있다. 디올 제품도 마찬가지다. '디올 포에버 쿠션 믹스&매치' 제품의 가격은 11만2000원, 기초 스킨케어와 연관된 '디올 프레스티지' 세럼은 39만9000원이다.


색조 제품은 명품을 구매하는 이유 중 하나인 과시성 수요와 연결된다. '집에서 사용하는 스킨케어 제품은 올리브영에서 구매하고 밖에서 보이는 화장품은 명품 제품 중에서 구매한다'는 우스갯소리도 나온다. 쿠션 제품이 대표적이다. 휴대가 쉬워 집 밖에서 화장을 고칠 때 많이 사용된다. 명품 화장품 회사들이 제공하는 사은품(파우치, 거울)을 받기 위해 제품을 구매하는 수요도 있다. 실제로 디올 뷰티는 이달 20만원 이상 구매한 고객에게 '까나쥬' 카드 지갑을 사은품으로 제공해 구매 대란이 일어났다.

원가 10%인데…마케팅비로 가격 올리는 명품사

명품 회사들은 화장품 부문에서도 가격 인상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앞서 샤넬과 디올, 로레알그룹(랑콤, 입생로랑, 키엘 등), 에스티로더( 라메르, 바비브라운 등) 등 백화점에 입점한 대부분의 수입 명품 브랜드가 가격을 인상했다. 수입 명품 화장품 회사들로 대체로 매년 한 차례씩 가격을 올리는데 대부분은 "원재료, 부자재와 인건비 등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설명한다.


"집에선 올리브영 써도 밖에선 디올"…불황에도 잘나가는 명품 화장품[럭셔리월드] 원본보기 아이콘

반면 국내 화장품 업계 관계자들은 원부자재 인상 영향도 있지만, 명품 회사들이 브랜드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가격을 올리는 것으로 보고 있다. 화장품 가격은 크게 원가 10~20%, 부자재 비용 30%, 마케팅 비용 50%로 나뉜다. 화장품 제조 과정에서는 명품과 명품이 아닌 제품 간 원가 차이가 크지 않다. 부자재도 포장재에 금박을 얼마나 더 많이 사용하는지에 따라 차이가 날 수는 있지만 격차가 크게 벌어질 정도는 아니다.


실제 글로벌 브랜드를 고객사로 보유한 화장품 제조업자개발생산(ODM) 업체 코스맥스 의 올해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색조 제품류의 평균 가격은 2725원으로 2022년과 비교해 3원가량 감소했다. 평균 가격은 매출금액을 매출 수량으로 나눈 것으로 제품 1개의 원가를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마케팅비 명목으로 제품값을 인상해 매출을 높이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가격이 오르더라도 이를 구매하려는 수요는 충분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화장품 업계 관계자는 "제조업체들은 정해진 가격대에 맞춰 제품을 만들어 주고, 브랜드별로 여기에 추가금을 붙여 판매하는 구조"라며 "원가보다는 마케팅 비용의 비중이 큰 것이 사실"이라고 전했다.





이민지 기자 ming@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