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녹조가 '먹는 물' 위협할라…결국 댐 방류량 확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한강홍수통제소 댐 방류량 확대 결정
소양강댐 44.4㎡/s→200.0㎡/s 늘려
상수원 연결된 팔당호 녹조 해결이 목적
정부 못 믿겠다…자체 대응 나선 환경단체

19일 경남 김해시 대동면 대동선착장에서 환경단체 관계자가 녹조 현상이 발생한 바닷물을 채취하고 있다. 사진=환경운동연합

19일 경남 김해시 대동면 대동선착장에서 환경단체 관계자가 녹조 현상이 발생한 바닷물을 채취하고 있다. 사진=환경운동연합

AD
원본보기 아이콘

정부가 심각한 녹조 확산세를 막기 위해 댐 방류량을 늘리기 시작했다. 상수원까지 손상을 입게 되면 국민들의 ‘먹는 물’에도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다. 환경단체들은 정부의 늦장 대응 탓에 녹조가 해결되지 않는다며 자체 점검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19일 환경부에 따르면 한강홍수통제소는 지난 16일 오후 3시30분을 기준으로 북한강 수계 일대의 댐 방류량을 늘렸다. 강원도 춘천에 있는 소양강댐의 방류량을 44.4㎡/s에서 5배가량 늘어난 200.0㎡/s으로 확대했다. 인근에 있는 의암댐의 방류량은 95.0㎡/s에서 270.0㎡/s으로, 경기도 가평군의 청평댐은 150㎡/s에서 300㎡/s로 늘어났다.

댐 방류량 증가는 팔당호의 녹조를 해결하려는 조치다. 팔당호는 한강본류가 시작되는 지점에 위치해 한강 상수원과 연결돼 있다. 그런데 지난 12일 팔당호 댐 앞 유해 남조류 세포가 1ml당 8236개 발견됐다. 아직 녹조경보가 발령되지는 않았지만 녹조량은 2015년 8월 17일 이후 가장 많다.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빠르게 조치하지 않으면 녹조가 급격하게 번질 수 있다.


이미 일부 상수원에서는 녹조가 확산하는 추세다. 수도권 거주민들의 상수원에 속하는 소양강댐 상류 58km 지점 인제대교 일대에는 지난달 25일 녹조현상이 시작됐다. 환경청과 지방자치단체가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차단막을 설치 운영해왔지만 폭염에 따른 확산세를 막지 못했다. 이에 따라 한국수자원공사 산하 한강유역본부가 자율주행 녹조제거로봇까지 투입한 상태다.


김해시 대동면 대동선착장 인근. 유해 남조류 세포가 급증해 녹조 현상이 발생했다. 사진=환경운동연합

김해시 대동면 대동선착장 인근. 유해 남조류 세포가 급증해 녹조 현상이 발생했다. 사진=환경운동연합

원본보기 아이콘

비수도권 일대의 녹조는 더 심각한 상황이다. 보령호와 대청호의 유해 남조류 세포는 14일 기준 각각 1ml당 5만2096개, 2만9240개로 3단계에 해당하는 녹조경계가 발령됐다. 용담호와 해평, 강정·고령, 칠서, 물금·매리에도 관심 경계가 발동됐다. 특히 낙동강 수계에서는 상수도 취수시설이 있는 지점에서도 녹조가 번져 조류 차단막과 녹조 제거선, 로봇 등이 투입됐다.

전문가들은 이상기후가 녹조 확산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녹조를 유발하는 남조류 세포는 보통 질소나 인과 같은 영양물질이 대량 유입되면서 수온이 뜨거울 경우 발생하기 쉽다. 올해의 경우 예년보다 많은 장맛비가 내렸는데, 이후 수온이 30도를 넘나들 정도로 뜨겁게 달궈지면서 남조류가 살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졌다.


환경 시민단체들은 정부의 대응이 느리다면서 자체적인 점검에 나섰다. 낙동강네트워크·대한하천학회·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는 이날 오전 경남 김해시 대동면 대동선착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3일간 녹조 실태를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녹조 지점들이 취수장과 저류지 등 관리를 잘해야 하는 곳”이라면서 “시료를 채취한 뒤 연구분석 기관에 의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종=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