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감각 센싱 정보를 인식해 폐질환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진단이 어려운 폐질환을 폐질환 선별 장치로 초기에 발견해 폐 손상이 진행되기 전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는 점에서 연구 결과에 의미가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하 ETRI)은 다중감각 인식 정보로 복합적인 폐 정보를 분석해 다양한 양상의 폐질환을 동시 선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개발한 기술은 기존 폐질환 진단에서 개별적으로 쓰이던 호기 산화질소 측정 장치와 폐활량 측정 장치 및 폐음 청진기 장치를 단일 다중감각 인식 장치로 통합한 것이 특징이다.
이 장치는 폐의 상태 정보를 복합적으로 획득한 후 이를 인공지능 기술로 다중감각 측정 정보와 상호 연관 지어 다각적으로 분석, 다양한 종류의 폐질환을 한꺼번에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
폐질환 진단을 위해 진행해야 하던 기존 검사와 복잡한 절차를 생략할 수 있는 것도 ETRI가 개발한 장치의 장점으로 꼽힌다.
기존의 진단법은 피검사자의 검사 의지와 의료 인력의 보조 및 안내도 요구됐다. 하지만 복잡다단한 과정에도 불구하고, 뒤늦게 진단을 받는 경우가 많아 폐질환으로 손상된 폐를 완전하게 회복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이와 달리 ETRI의 폐질환 스크리닝 장치를 이용하면, 폐에 발생한 문제를 조기에 발견해 적기에 치료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게 ETRI의 설명이다.
장치의 핵심 기술은 ▲호기 가스 검출 및 분석 기술 ▲청진 측정 및 폐음 이상 인식 기술 ▲폐질환 자가 측정 모바일 콘텐츠 기술 ▲다중감각 폐질환 선별 기술 등이 꼽힌다.
ETRI는 3년 이내에 기술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공동연구개발기관인 ㈜액티브디앤씨를 통해 기술이전 및 상용화 전 시제품을 개발하고, 임상실험을 거쳐 의료기기 등록 및 사업화를 진행해 전국 노인돌봄센터와 요양원, 주민센터 등 다중이용시설에 보급하는 계획도 세웠다.
정일권 ETRI 콘텐츠연구본부 본부장은 “다중감각 기반 스크리닝 기술로 폐질환의 조기 발견과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연구진은 앞으로 다중감각의 범위를 확장해 보다 많은 정보를 융합 분석함으로써 폐질환 스크리닝 기술을 고도화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지원하는 ICT 기반 사회문제 해결 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액티브디앤씨와 강원대가 참여해 수행했다. 다중감각 인식 정보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강원대병원에서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 절차를 준수해 확보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