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코로나 종식 후 아동·청소년 행복지수 높아졌다… 놀이시간은 부족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2023 서울시 아동종합실태조사' 결과 발표
행복지수 상승… 우울, 화, 외로움, 불안 감소
노는 시간 회복… 코로나 전과 비교하면 부족

코로나19 종식 후 서울에 사는 아동들이 느끼는 행복도가 높아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방과 후 친구들과의 놀이시간은 늘었지만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는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서울시는 서울 아동의 양육 및 생활환경, 정책 수요를 분석한 '2023 서울시 아동종합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아동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쓰기 위해 2년마다 하는 것으로, 국가 승인통계다.

코로나 종식 후 아동·청소년 행복지수 높아졌다… 놀이시간은 부족
AD
원본보기 아이콘

조사는 서울에 사는 18세 미만의 아동을 양육하는 252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지난해 11~12월 가구 방문 면접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는데. 의사 표현이 어려운 아이는 부모의 응답을 참고했다.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아동들의 행복 지수가 높아진 점이다. 코로나19가 유행하던 2021년과 2023년 응답자들이 느끼는 감정을 수치화해 비교한 결과, 행복은 3점 기준 1.88점에서 2.3점으로 올랐다. 반면 우울(2.14점→1.70점), 화(2.08점→1.75점), 외로움(2.13점→1.66점), 불안(2.22점→1.68점)은 줄었다.


주중 방과 후 친구들과 노는 시간 역시 190.2분으로 2021년 142.9분보다 늘었다. 하지만 코로나19 이전인 2017년 360.1분, 2019년 382.3분으로는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들의 놀이·여가 활동 방식도 바뀌었다. 놀이터·공원 등에서 뛰어놀거나 운동·산책 등 신체 활동(44.5%)을 원하고 있다고 나왔지만 실제로는 TV 시청, 스마트폰, 게임(주중 5.86시간)을 하며 보내는 시간이 뛰어노는 시간(주중 2.73시간)보다 길었다. 이밖에 아동 인권 존중 정도를 수치화한 결과는 가정 3.39점, 학교 3.21점, 동네 3.06점, 국가 2.96점, 온라인 2.81점으로 확인됐다.


서울시는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서울 어린이 행복 프로젝트' 등을 통해 아동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아동 정신건강과 관련해서는 서울어린이활짝센터(가칭)의 내년 개소를 추진한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실장은 "실태조사 결과를 서울시 아동정책을 개선·발전시키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