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한동훈, 국민의힘 당대표 선출…62.8% 얻어 결선 없이 '완승'(종합)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장동혁·김재원·인요한·김민전·진종오 최고위원 선출

국민의힘 당대표로 한동훈 후보가 선출됐다.


서병수 국민의힘 전대 선거관리위원장은 23일 고양 킨텍스에서 진행된 국민의힘 4차 전당대회에서 당원 투표와 여론조사를 합산한 결과 한 후보가 당대표로 선출됐다고 발표했다.

한 대표는 선거인단에서 62.69%(25만5930표), 여론조사 환산득표에서 63.46%(6만4772표)를 얻어 합계 62.84%(32만702표)로 1위를 차지했다. 1차에서 과반을 득표해, 결선 없이 당 대표가 확정됐다.


한동훈 국민의힘 당대표 당선자(왼쪽 네 번째)가 2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에서 당기 인수 후 최고위원 당선자들과 기념촬영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인요한, 김민전, 장동혁 최고위원. 한동훈 당대표. 김재원 최고위원, 진종오 청년최고위원. 사진=김현민 기자 kimhyun81@

한동훈 국민의힘 당대표 당선자(왼쪽 네 번째)가 2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에서 당기 인수 후 최고위원 당선자들과 기념촬영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인요한, 김민전, 장동혁 최고위원. 한동훈 당대표. 김재원 최고위원, 진종오 청년최고위원. 사진=김현민 기자 kimhyun81@

AD
원본보기 아이콘

원희룡 후보는 합산 18.85%(선거인단 20.19%, 여론조사 13.45%)로 2위, 나경원 후보는 합산 14.58%(선거인단 13.72%, 여론조사 18.05%)로 3위, 윤상현 후보는 3.73%(선거인단 3.40%, 여론조사 5.05%)로 4위를 차지했다.


당초 국민의힘 전당대회는 '어대한'(어차피 당대표는 한동훈) 이라는 분위기 속에서 흘러갔지만, 김건희 여사 문자메시지, 지난 총선 사천 논란, 패스트트랙 공소 취소 청탁 등 논란이 불거지며, 결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하지만 한 대표는 당원은 물론 여론조사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확보해, 당권을 움켜쥘 수 있게 됐다.


최고위원에는 장동혁·김재원·인요한·김민전 후보가 선출됐다. 박정훈 후보가 최고위원 경선에서 4위를 차지했지만, 여성 최고위원 몫으로 김민전 후보가 선출됐다. 청년 최고위원에는 진종오 후보가 당선됐다.


한 대표 측 최고위원으로는 장동혁, 진종오 최고위원이 꼽힌다. 여기에 한 대표가 지명할 수 있는 정책위의장과 지명직 최고위원을 고려할 때 9명으로 구성된 최고위에서 과반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김재원·인요한·김민전 최고위원은 친윤계로 분류되어 친한계와 친윤계 사이의 일정한 균형 관계가 형성됐다.


한 대표는 수락 연설을 통해 현 정부와 관련해 "윤석열 정부는 이미 유능하다"며 "그 점에 있어서 우리는 자부심을 가져도 된다"고 평가했다. 다만 총선 등에서 평가를 받지 못한 원인으로 "우리가 덜 경청하고 덜 설득했기 때문"이라며 "제가 앞장서서 최고위원과 더 경청하고 더 설명하고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과감한 당 개혁도 약속했다. 그는 "몸 사린다는 소리, 웰빙정당이라는 소리 다시는 나오지 않도록 하겠다"며 "우리 국민의힘은 정치인이 웰빙 안 하고 지지자 당원이 웰빙하는 정치를 하겠다"고 말했다. 대야 관계와 관련해 "우리는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세력에 대해 단호하게 대항해 이기는 정치를 하겠다"고 선언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당대표 당선자가 2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에서 수락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김현민 기자 kimhyun81@

한동훈 국민의힘 당대표 당선자가 2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에서 수락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김현민 기자 kimhyun81@

원본보기 아이콘

경선 기간 빨간 등이 들어왔던 당내 통합 문제와 관련해서는 2007년 대선 경선 이후 '경선 과정의 모든 일을 잊자. 하루아침에 잊을 수 없다면 며칠, 몇날에 걸쳐서라도 잊자'고 했던 박근혜 전 대통령의 발언을 인용하며 "함께 경쟁했던 모든 분과 함께 가겠다"며 "각별한 정성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