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삼성SDI "전고체 공급망 결정, 마무리 단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고주영 삼성SDI 부사장, 기자와 만나
'SNE 배터리데이 2024'행사서
"소재·장비 등 공급망 이원화해 결정"

고주영 삼성SDI 중대형상품기획팀장(부사장)이 23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SNE 배터리 데이 2024'행사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정동훈 기자

고주영 삼성SDI 중대형상품기획팀장(부사장)이 23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SNE 배터리 데이 2024'행사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정동훈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고주영 삼성SDI 중대형상품기획팀장(부사장)이 차세대 배터리인 전고체 전지 공급망에 대해 "결정 마무리 단계"라고 밝혔다.


고 부사장은 23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SNE 배터리데이 2024'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전고체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화재 위험이 낮아 '꿈의 배터리'로 불린다. 삼성SDI는 최근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를 2027년 양산하겠다고 밝히며 양산에 필요한 소재·장비 등의 공급망을 올해 상반기 내에 결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고 부사장은 삼성SDI 내에서 전고체 배터리 개발과 상용화를 주도하고 있다.


최근 포스코가 전고체 배터리 공급망 중에서도 가장 비싼 소재인 황화리튬 파일럿 라인을 만든 데 대해서는 "다 열어놓고 보고 있는 상황"이라며 "공급망 결정의 마무리라고 하면, 이원화(둘이 되게 함)까지 다 감안해서 하고 있는 것이다. 딱 한 곳만 정해서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발표에서 고 부사장은 "(전고체 배터리·소디움 배터리와 같은) 차세대 배터리가 필요한 이유는 배터리 산업이 지속해서 가능하기 위해서"라며 "신차의 전기차 침투율이 현재 21% 정도이고 2030년에는 50% 정도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예측대로 배터리 산업이 성장하려면 내연기관급 충전속도·주행거리를 갖춘 배터리가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모든 세그먼트(차급)에 대응하는 배터리를 개발하고 양산하려고 한다"며 "이를 위해 전고체 배터리를 비롯해 하이니켈·미드니켈·NMX(코발트프리)·LFP 배터리 등 제품 라인을 두루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


전고체 배터리와 관련한 전략에 대해서는 "초창기에 전고체 배터리가 '슈퍼 프리미엄 세그먼트(초고급 차량)'에 들어가고 이 경험을 살려서 전고체 배터리의 소재 SCM(공급망 관리), 생산 케파 증대로 생산 비용 감소가 이뤄지게 되면 점차 범용적으로 쓰일 것"이라며 "삼성SDI의 전기차용 배터리 전략"이라고 말했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