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 기업대출에 녹색금융 적용
정책금융기관 등 채권 발행 나서
은행들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친환경 사업 전환에 앞장서는 기업에 대출해주는 녹색금융이 특히 주목받는다. 시중은행에선 신한은행이 가장 적극적이며 신용보증기금·산업은행도 녹색채권 발행 등에 나서고 있다. 사업 초기 단계인 인터넷은행의 경우 무점포 운영 등으로 탄소배출 절감에 기여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지난 27일 녹색분류체계 적용 기업대출 프로세스를 도입했다. 국내 기업의 저탄소 전환을 지원하고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기반 녹색금융 공급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다. 녹색금융은 환경 개선 상품 및 서비스 생산에 자금을 공급해 녹색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유도하고 환경 파괴 활동에 대해선 자금공급을 차단하는 금융체계다. 녹색금융을 촉진하기 위해 환경부는 2021년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도입해 특정 경제활동을 녹색과 비녹색으로 구분하고 있다. 6대 환경목표(온실가스 감축·기후변화 적용·물·순환경제·오염·생물다양성)에 기여하는 활동을 녹색경제활동으로 분류하고 해당 활동에만 자금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지난해부터 신한은행은 업무기준을 정립하고 관련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대기업에 대한 파일럿 운영을 거쳐 적용 대상을 확대했다. 구체적으로 기업이 탄소 절감을 위해 10억원 이상 기업대출을 신한은행 영업점에서 신청하면 본점 ESG 담당부서에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에 따라 4가지 적합성 판단 기준에 맞춰 별도 심사 과정을 진행한다. 이를 충족하면 금리우대 등 혜택을 제공한다.
지난 3월 발표된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금융지원 확대 방안’에 맞춰 정책금융기관도 나서고 있다. 당시 금융당국은 신용보증기금·산업은행·기업은행·수출입은행·기술보증기금 등 5개 정책금융기관의 연평균 녹색자금 공급량을 직전 5개 연도 평균인 36조원에서 67% 증가한 60조원으로 확대했다. 2030년까지 공급액은 420조원까지 늘릴 예정이다. 이에 맞춰 신용보증기금(신보)은 2030년까지 녹색금융 부문에 100조원을 지원한다. 특히 녹색채권을 중심으로 녹색금융 활성화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신보는 녹색분류체계에 부합하는 중소·중견기업이 발행한 회사채나 대출채권을 신보가 설립한 유동화회사가 매입하고 이를 기초로 녹색유동화증권을 발행한다. 이 증권에 보증을 제공해 최우량등급으로 시장에 매각하거나 기업이 인수하는 방식으로 녹색자금을 조달한다.
산업은행의 경우 지난 21일 만기 2년, 발행금리 3.54%인 한국형 녹색채권 5000억원을 발행했다. 이 같은 방식으로 조달된 자금은 이차전지 소재산업, 친환경운송, 자원순환 등 녹색금융 지원에 사용된다고 산업은행은 설명했다. 산업은행은 2018년 국내 최초 녹색채권 3000억원 발행을 시작으로 금융권 최대 녹색채권을 발행(누적 2조1300억원)한 기관이다.
사업 초기 단계인 인터넷은행의 경우 무점포 운영을 통한 탄소절감에 기여하고 있다. 카카오뱅크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르 따르면 카카오뱅크가 무점포 비즈니스 모델 및 친환경 디지털 전환사업으로 감축한 탄소배출량은 1만2981tCO2eq다. 이를 나무로 환산하면 30년생 소나무 197만 그루가 한 해 흡수하는 양이다.
오규민 기자 moh011@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한 잔에 300원도 안해"…출근길 매일 사들고 가더...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