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유럽연합(EU)이 대(對)중국 무역 압박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일부 수입 자동차에 대한 관세 인상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2일 EU 주재 중국상공회의소가 전날 발표한 성명을 인용해 "내부자들로부터 중국 당국이 대형 배기량 엔진 장착 수입차에 대한 관세율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는 정보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중국상회는 "이 잠재적 조처는 미국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인상을 발표하고, EU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 조사에 나선 가운데 검토되는 것"이라며 "유럽과 미국 자동차 제조사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하루 전인 21일에는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GT)가 이를 뒷받침할 만한 인터뷰를 실었다. GT는 류빈 중국 자동차기술연구센터 부국장이 "중국은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 따라 수입차에 대한 관세율을 최대 25%까지 인상할 수 있다"면서 2.5리터 이상 엔진을 장착한 수입차에 대한 임시 관세율 인상을 제안했다고 전했다.
다만 GT는 최근 미국의 대중 관세 인상 등 무역 압박에 대한 대응보다는 중국의 녹색 발전 이념과 기후 변화 대처를 명분으로 제시했다. GT는 "중국 전기차 부문은 급속한 발전과 세계적 명성을 얻었다"면서 "이는 중국의 녹색 발전 이념과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려는 전 세계의 노력과도 일치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러나 중국의 전기차 산업은 미국의 중국 탄압 캠페인의 표적이 되기도 했다"면서 "EU도 중국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 반대 조사에 착수했다"고 지적했다.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2.5ℓ 이상 엔진 장착 자동차 25만대를 수입했다. 이는 전체 수입 자동차의 32%에 해당한다. 류 부국장은 "에너지 절약을 더욱 촉진하기 위해서는 대용량 엔진을 탑재한 승용차의 수입을 줄여야 한다"면서 "수입 휘발유 세단과 2.5ℓ 이상 엔진 장착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에 대한 임시 관세율을 인상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해당 조처는 WTO 규정 내에서 시행할 수 있는 조처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이에 앞선 19일 중국 상무부는 대만·미국·EU·일본산 폴리포름알데히드 혼성중합체(POM)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들어간다고 밝힌 바 있다. 이튿날인 20일에는 대만 지역에 대한 무기 판매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미국 보잉 방산우주보안(BDS, Boeing Defense·Space & Security)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에 포함한다고 밝혔다. 상무부는 BDS에 대해 중국과 관련한 수출입 활동, 중국 경내 신규 투자, 고위 경영진의 중국 입국을 금지하며 추후 BDS의 취업 허가와 체류 자격 역시 취소한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이 같은 행보는 미국, EU 등 서방 국가들의 대(對)중국 무역 압박이 심화하는 가운데 시작된 것이다. 미국은 지난 14일 중국산 전기차, 컴퓨터 칩, 의료 제품 등에 대한 관세 인상을 발표했고, EU는 17일 중국산 주석 도금강에 대한 무역 조사를 시작했다. EU는 중국산 전기차 보조금에 대한 조사도 진행하고 있다.
베이징=김현정 특파원
꼭 봐야할 주요뉴스
野전략가가 내다본 조기대선…'이재명 8년전보다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