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천후에 헬기 수색 난항
라이시, 서방·이스라엘에 초강경파
“중동 긴장 불가피…이스라엘 무관”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이 탄 헬기가 19일(현지시간) 추락하면서 중동 전역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라이시 대통령의 생사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은 상태다.
이란 국영 IRNA 통신에 따르면 라이시 대통령이 탄 헬기가 이날 오후 이란 북서부 산악 지대에 추락한 가운데 악천후에 수색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이란 당국은 60개 팀이 넘는 구조대를 파견하고, 군경·혁명수비대(IRGC)도 동원해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지만, 비·눈·안개에 산세가 험한 탓에 헬기 추락 지점을 파악하는 것조차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을 요구한 이란 당국자는 외신에 “구조대가 사고 지점에 접근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여전히 희망을 갖고 있지만, 현장에서 들려오는 정보를 볼 때 매우 우려스러운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하메네이 최고지도자는 “이번 사고가 국정 운영에 차질을 빚지는 않을 것”이라며 이란 국민을 안심시켰다. 이란 수도 테헤란 등 거리에는 라이시 대통령의 무사 귀환을 위해 기도하려는 수백 명의 시민들이 모였다.
강경파 라이시 이란 대통령
2021년 6월 대선에서 62% 지지율로 당선된 라이시 이란 대통령은 미국, 유럽 등 서방, 이스라엘에 적대적인 강경파로 꼽힌다. 2022년 한 여성이 히잡을 바로 쓰지 않았다는 이유로 의문사한 사건으로 촉발됐던 ‘히잡 시위’를 유혈 진압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이란 내 서열 1위인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최고지도자를 이을 차기 최고지도자 후보로 유력 거론돼 왔다.
AP 통신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이란 행정부 수장이 탄 헬기 추락 소식이 나왔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번 계기로 중동 전역에 파장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란은 1979년 혁명 이후 수십 년간 레바논, 시리아, 이라크, 예멘, 팔레스타인 영토에서 무장 단체를 우회 지원해 오는 등 중동에서 서방과 이스라엘 견제에 가장 적극적인 자세를 취해왔다는 점에서다. 이란과 동맹 관계인 하마스는 이번 사건과 관련 “이란 지도부, 정부, 국민에게 전폭적인 연대를 표명한다”는 성명을 냈다.
올 들어 미·이스라엘과 갈등 최고조
이란은 이스라엘과 전면전이 아닌 ‘그림자 전쟁’을 벌여 왔지만 라이시 대통령 집권 체제에서 지난 4월 사상 처음 이스라엘 본토를 공격하는 등 초강경 이미지를 구축해왔다는 평가다. 그는 지난달 스리랑카 방문 중 성명에서 “이스라엘 정권이 75년간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탄압하고 영토를 강탈해왔다”며 “찬탈자(이스라엘 당국)를 처벌해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하기도 했다.
외신은 이스라엘의 반응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다만 AP 통신은 ‘(이번 헬기 사고와 관련) 이스라엘이 연루됐다는 증거는 없다”고 밝혔다. 이스라엘 측은 이번 사건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이스라엘을 제외한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 등 여타 중동 국가들은 이란과의 기존 관계를 불문하고 수색 지원에 힘쓰겠다고 전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최근 이란과 미국 간 외교 관계에서 핵 개발 등을 둘러싸고 대립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추락 소식 발표가 나왔다는 것을 짚었다. 이란 당국자들은 핵무기 개발 가능성을 공공연히 언급해 왔고, 추락한 헬기에 동승했던 호세인 아미르압돌라히안 외무장관은 지난주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 수장을 만나 핵 시설에 대한 이란의 더 나은 접근을 요구한 바 있다. 올 초 들어서는 시리아와 이라크의 친이란 민병대가 드론 공격을 통해 미군 3명을 사살하거나 친이란 무장세력인 후티 반군이 국제 선박을 반복적으로 나포하면서 미국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라이시 대통령 정권에서 이란은 러시아의 주요 동맹국으로 부상하기도 했다. 서방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에서 동원된 드론무기의 상당수는 이란에서 공수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AFP 통신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비행기 두 대, 헬기 여러 대, 구조요원 50명을 이란으로 급파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몽골 여행 계획한다면 조심하세요…수백만 원 뜯어...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