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부안 유천리 요지서 고려청자 가마·공방지 발견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가마 네 기와 공방지 한 곳 등 확인돼
용문 향로 초벌 편 등 왕실 청자도 확인
"고려청자 재료·생산 체계 밝힐 중요 자료"

전북 부안 유천리 요지에서 고려청자 가마와 공방지로 추정되는 생산시설이 발견됐다.


조사구역 전경

조사구역 전경

AD
원본보기 아이콘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 2월부터 유천리 2~3구역(토성 안)을 시굴(試掘) 조사해 가마 네 기와 공방지 한 곳, 폐기된 자기·벽체편·번조(燔造)용 요도구(窯道具) 등이 묻힌 구덩이(수혈)를 확인했다고 8일 전했다. 하나같이 고려청자 생산 과정과 관련한 시설들이다. 요도구는 갑발(자기를 구울 때 담는 그릇으로, 자기에 불길이 직접 닿거나 불순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 도지미(자기를 가마에서 구울 때 사용하는 받침) 등 자기를 구울 때 사용된 도구다.

유천리 요지는 고려 중기에 형성됐다고 알려진 청자 가마터다. 일제강점기인 1929년 노모리 겐에 의해 발견돼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됐다. 본격적인 탐색은 1997년부터 이뤄졌다. 2~7구역을 꾸준히 시·발굴 조사해 12세기 후반~13세기 대규모 고려청자 가마터와 관련한 건물지 등을 찾았다.


공방지 출토 도기 및 청자 태토 추정 회백색 점토

공방지 출토 도기 및 청자 태토 추정 회백색 점토

원본보기 아이콘

이번에 발견된 가마는 구릉 경사면에 있었다. 약 6~7m 떨어진 공방지에선 원형 도기 항아리 두 점과 직사각형 수혈이 확인됐다. 내부와 주변에는 회백색 점토가 분포해 있었다. 국립문화재연구원 관계자는 "보존과학연구실에서 X-선 회절 분석과 레이저 입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규산염 광물인 고령석과 운모가 풍부한 토양이었다"며 "도자기의 바탕흙인 태토(胎土)로 사용됐다고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조사에선 12세기 중반~13세기 전반에 제작됐다고 짐작되는 대접, 접시, 잔 등 일반 기종과 향로, 주자, 참외 모양 병 등 특수 기종도 출토됐다. 일부 접시는 고려 왕릉인 지릉(명종)과 석릉(희종)에서의 출토품과 모양 등이 흡사했다. 용문 향로 초벌 편 등 왕실이나 귀족계층이 사용했다고 추정되는 고급 청자도 확인됐다.

수피룡 문양 향로 초벌편

수피룡 문양 향로 초벌편

원본보기 아이콘

문화재청 측은 "부안 유천리 요지에서 고려청자 태토를 가공하기 위한 공방지가 발견되기는 처음"이라며 "향후 고려청자의 재료와 생산 체계를 밝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이어 "물리탐사, 고지형 분석, 성분 분석, 연대 측정 등을 병행해 조사 결과를 세부적으로 파악하겠다"고 밝혔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