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국 끝내고 계가, 프로바둑에서는 드물어
패배를 받아들이는 프로기사 자세와 연관
요행을 바라기보다 명예를 지키는 선택
프로바둑에서 승패를 가르는 집의 차이는 어느 정도일까. 아마추어 바둑에서는 수십 집은 기본이고, 많게는 100집 넘는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다. 바둑에서는 91집 이상의 차이로 크게 승리하는 것을 일컬어 만방(萬放)이라고 한다.
프로바둑의 세계에서도 만방이 나올 수 있을까. 프로기사가 날카로운 공격력을 토대로 상대 대마를 잡는다면 그런 장면도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 실제로 프로기사의 대국에서도 대마가 잡히는 경우가 심심치 않게 발생한다. 그러나 대국이 끝나고 계가(計家)가 이뤄질 때 만방이 현실화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만방은커녕 10집 이상의 차이로 승패가 갈리는 경우도 드문 일이다. 더 흥미로운 점은 프로바둑에서는 대국을 끝내고 계가를 하는 상황 자체가 많지 않다는 점이다.
한국기원 기록을 분석해 보면 4월1일부터 15일까지 328번의 대국이 이뤄졌다. 두 기사가 대국을 끝낸 뒤 계가를 통해 우열을 가린 횟수는 15.4%(57번의 대국)에 불과하다. 바둑 열 판을 두면 여덟 판은 계가 없이, 불계승 등으로 승부가 갈렸다는 의미다.
바둑 한판에 거액의 상금이 왔다 갔다 하는 세계 메이저 대회는 상황이 다를까. 지난해 11월 끝난 ‘2023 삼성화재배 월드바둑마스터스’ 대회를 살펴보면 의문이 풀린다. 당시 16강부터 결승전(3번기)까지 모두 17번의 대국이 이뤄졌다. 계가까지 간 승부는 단 한 번에 불과하다. 대국의 94.1%는 계가 없이 승부가 끝났다.
프로바둑 세계에서 계가가 드문 이유는 패배를 받아들이는 자세와 관련이 있다. 승패를 뒤집는 게 불가능하다는 판단이 서면 돌을 던지는 게 일반적이다. 간혹 승부가 확정된 상황에서 대국을 이어가는 경우도 있는데, 상대 실수를 기다리며 패배를 미루는 행동으로 구차하게 보일 수 있다.
대다수 프로기사는 패배 상황에서 요행을 바라기보다는 명예를 지키는 선택을 한다. 당장의 패배는 쓰리지만, 피한다고 사라지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패배를 수용하는 자세에는 삶의 철학이 녹아 있다. 고개를 숙여야 할 때 숙일 줄 아는 사람이 결국 재도약의 기회를 얻는다는 인생의 교훈. 바둑의 세계에만 국한되는 일일까.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尹 대통령, 진술거부권 행사…영상녹화도 거부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